박상천의 공격 "유시민·천정배와 함께 못 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0면

범여권의 통합 주도권 다툼이 격렬해지고 있다. 16일엔 열린우리당과 민주당 대표가 서로 상대방을 공개 비판하는 장면이 연출됐다.

열린우리당 정세균(얼굴(左)) 의장은 이날 라디오에 출연, 민주당 박상천(얼굴(右)) 대표를 공격했다. 박 대표는 열린우리당과의 당대당 통합을 거부, 탈당그룹과 함께 '40인 신당'을 추진 중이다.

정 의장은 "열린우리당에는 유수한 정치인들, 특히 민주화 운동을 했던 개혁 세력들이 다 남아 있는데 그 분들을 배제하고 어떻게 통합을 하겠느냐"며 "(당대당 통합 거부는) 대선을 포기하겠다는 태도 아니냐"고 말했다.

박 대표는 곧바로 반격했다. 당 회의에서 그는 "이념과 정책을 따지지 않고 여러 세력이 특정 인물을 중심으로 이합집산하는 것은 전형적인 구태 정치의 소산"이라고 쏘아붙였다. 그러면서 "이념과 정책이 다른 열린우리당과 민주당이 무분별하게 통합하면 잡탕 정당이 된다"고 말했다.

박 대표는 민주당을 중도정당, 열린우리당은 좌편향 정당이라고 주장해 왔다. "국정 실패에 대해 심판을 받아야 할 정당과 통합을 한다면 국민이 (대선에서) 지지하겠느냐"는 말도 했다. 최근 사석에서 "유시민.김근태.천정배 의원은 노무현 좌파 정권의 연속이다. 함께 갈 수 없다"는 말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양당 대표 간의 기 싸움은 대변인들의 '성명전'으로까지 확대됐다. "18대 총선을 염두에 둔 후퇴정치"(열린우리당 최재성 대변인), "열린우리당은 스스로 해체하라"(민주당 유종필 대변인)는 원색 발언이 오갔다. 그래서 내부적으론 양측의 통합 주도권 다툼이 노선투쟁으로 발전하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한편 열린우리당 김근태 전 의장이 이끄는 민주평화연대와 천정배 의원 중심의 민생정치모임 소속 의원들이 17일 모임을 갖고 향후 정계개편 과정에서 연대하는 방안을 모색하기로 했다.

이 둘을 묶어 준 것은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반대라는 공감대가 바탕이 됐다는 분석이다. 이들이 개혁성을 앞세운 정치연대를 형성할 경우 범여권 내 정파 간 노선투쟁 양상은 훨씬 복잡해질 전망이다. 그래서 "노선 갈등이 범여권 통합의 암초로 등장할지 모른다"는 얘기가 나오고 있다.

김정욱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