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 뛸수록 여당표 잃는다/삼성경제연 지난 8차례 선거분석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9면

◎1% 상승하면 득표율 0.2%감소/자금보다 공약남발이 인플레 자극
역대 선거에서 집권당에 대한 지지는 성장률이 높을수록 올라가는 반면 물가가 오를수록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선거가 경제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은 선거에서 뿌려지는 돈자체가 물가상승을 부채질해서라기 보다는 각후보들의 무분별한 공약남발이 인플레심리를 부추기는데서 오는 것으로 지적됐다.
삼성경제연구소는 18일 「선거와 경제의 상관관계 분석」이라는 제목의 연구논문을 통해 『지난 70년이후 치러진 6차례의 국회의원 선거와 2차례의 대통령 선거를 분석해본 결과 선거를 치르는 시점의 GNP성장률이 선거전 분기에 비해 1%높을때 집권당의 지지율은 0.13% 늘어나고 소비자 물가 상승률이 1%높아지면 집권당 득표율이 0.2% 감소한 것으로 드러났다』고 밝혔다.
삼성연구소는 또 이번 총선에서 후보자들(1천52명)이 1인당 평균 10억원씩의 선거자금을 쓴다고 가정할때 총 1조5백20억원(총통화 평잔기준 1.2%에 해당)의 선거자금이 시중에 풀려 올해부터 5년간 물가에 연평균 0.38%의 상승압력을 가져다 줄 것으로 분석했다.
동연구소는 이같은 분석 결과가 보여주듯이 선거자금 자체는 물가에 그리 큰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후보자들이 앞다투어 내걸고 있는 개발공약이 인플레를 부추기고 부동산투기를 유도할 공산이 크다고 지적했다.
연구소는 이와 함께 우리나라의 경우 미국등 외국에서 나타나는 것처럼 선거를 앞두고 경기부양책을 쓰고 선거가 끝나면 긴축정책을 쓰는 등의 도식적인 경제운용을 하지는 않는 것으로 분석됐다고 설명했다.
오히려 경제성장률이 선거전에는 둔화됐다가 선거후에 증가현상을 나타냈고 생산성증가율도 선거전후에 모두 감소했던 사실을 통해 잘 알 수 있다는 것이다.<박의준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