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동평화회의 공전/다음회담 장소싸고 이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정착촌 건설­차관연계 이스라엘 반발
【워싱턴 AP·AFP·로이터=연합】 미 행정부가 이스라엘 정착촌 건설중단과 차관보증제공 연계방침을 공개 천명,미·이스라엘간 첨예한 갈등 양상이 노출되고 있는 가운데 25일 이스라엘과 아랍국들간 제4차 중동평화회의 이틀째 회의가 속개됐다.
워싱턴 미 국무부 청사에서 열린 이날 회의는 이스라엘과 아랍국들이 모두 참석한 30여분간의 전체 회동이 있은뒤 이스라엘과 요르단·시리아·레바논간의 별도회의순으로 진행됐다.
회의에서는 차기회의 개최지 선정건 등 주로 절차상의 의제가 집중 논의됐으나 회의 장소를 중동지역으로 옮길 것을 주장하는 이스라엘측에 맞서 아랍측이 워싱턴을 고수,타협점을 찾지 못했다.
이스라엘측은 또 팔레스타인 자치안을 다시 제시했으나 팔레스타인측은 이 계획이 이스라엘의 점령지 장악을 영구화시킨 채 정착촌 건설을 계속하려는 의도를 담은 것이라고 주장,수락을 거부했다.
하난 아시라위 팔레스타인 대표단 대변인은 조지 부시 미행정부도 정착촌 건설 반대입장을 분명히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제시된 이 계획은 『팔레스타인들의 지성에 대한 모독이며 앞뒤가 뒤바뀐 제안』이라고 일축했다. 그는 점령지 문제의 타결 및 팔레스타인주민들에 대한 인권보장 확보가 전제되지 않는 한 자치안은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이스라엘과 시리아·레바논간의 회동에서는 이스라엘측이 아랍측의 테러문제를 집중 거론했으며 의제에 관해서는 전혀 진전을 보지 못했다.
이날 집중적으로 거론된 차기회의 개최문제와 관련,요르단측은 현 회의를 다음달 11일까지 연장 개최하자고 제의,이스라엘측으로부터 검토 동의를 받아냈으며 팔레스타인­요르단측은 회담장을 중동으로 옮기는 문제에 양보할 의향도 있음을 시사했다.
한편 이스라엘측은 앞서 제임스 베이커 미 국무장관이 밝힌 차관과 정착촌 건설중단 연계방침에 대해 연계불가 입장을 분명히 했다.
다비드 레비 이스라엘외무장관은 『미국이 이스라엘에 대해 자신들의 입장을 강요할 수는 없는 것』이라고 비난했으며 이츠하크 모다이 재무장관도 『정착민들에 대한 인도적 지원에 정치적 조건을 연계시키는데 반대한다』고 밝혔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