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북경협 「대우대표성」쟁점화/김우중 회장 방북계기 재계촉각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7면

◎특사적인 성격강조… 기득권 암시 대우/관계없어 정부 교통정리 있어야 업계
김우중 대우그룹 회장의 방북을 계기로 앞으로 대북경제교류에 있어서의 「대우의 대표성」문제가 정부·업계의 민감한 현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김회장이 단순히 대우그룹만을 대표해 북에 다녀왔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는 상황에서 김회장의 이번 「특사적」성격의 범위와 한계가 어디까지인가에 대한 분명한 선이 아직 그어지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정부는 대북경협 에서의 과당경쟁 방지등 정부의 역할이 필요한 부분이 있지만 북측에 대해 혹시 「정부개입」의 오해를 사지않을까 조심스러운 입장이다.
대우그룹측은 「공동참여」의 원칙을 이미 밝혔으나,김회장이 27일 정부측 인사와 만나 방북결과를 설명하는 자리에서 『다른기업들과 협의하겠지만 북측도 우리측의 진출기업을 매우 까다롭게 선별할 것』이라고 전언,미묘한 입장을 취하고 있다.
김회장의 이같은 전언은 『우리가 협의해 진출기업을 정한다고 북측이 아무기업이나 받아들인다는 것은 아니다』는 「대우의 기득권」을 이야기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실제로 대북관계상 상당한 설득력이 있기 때문이다.
이같은 움직임에 대한 다른 기업들의 반응도 각양각색이다.
현대그룹은 대북 합작사업에서 대우그룹의 질주를 경계하면서도 건설·자원개발·상품교역등 부문에서 현대가 추진해온 대북교류는 대우와는 「별개의 것」임을 강조하고 있다.
현대는 정주영 전명예회장이 89년 1월 북한측과 체결한 금강산 공동개발,원산철도 차량공장 합작,시베리아 공동개발등 4개항이 여전히 유효하다고 보고 대북교류팀을 재가동시키기 시작했다.
현대는 그러나 김우중 대우회장의 방북결과로 2월중순 파견될 실무협의단에 현대가 포함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한 감을 잡지못한채 정부측의 교통정리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삼성물산 조경한 이사(북방전략 사업부장)는 『대우그룹측이 북한을 방문하기 전에 다른기업들과 북한 투자에 관한 협의를 했다고 말하고 있으나 삼성은 전혀 그런 사실이 없다』고 말했다.
중소기협중앙회 허상영 부회장은 『중소기업들이 봉제·피복·완구분야에 참여할 계획을 이미 모아놓았다』고 말해 대북투자에서 중소기업 몫의 「지분」을 간접적으로 강조하고 있다.
정부의 한 관계자는 『대북 경제교류가 처음 시작되는만큼 김회장의 「대표성」문제도 이제부터 하나하나 관례를 만들어 가야할 문제고 따라서 각계의 중지를 모아 교통정리가 곧 이루어질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경제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