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버스 10년 만에 파업하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2면

10년 만의 서울 시내버스 총파업을 앞두고 버스 노사가 밤샘 협상을 벌이며 진통을 겪었다.

서울시버스노동조합과 서울시버스운송사업조합은 26일 오후 4시부터 27일 새벽까지 마지막 조정회의를 계속했다.

양측은 22일 버스노조가 조합원 86.8%의 찬성률로 파업을 결의한 이래 파업 협상을 벌여왔다. 버스노조는 '임금 12.1% 인상' '주당 근로시간 5시간 단축(현행 50시간)' 등 요구 조건이 관철되지 않으면 28일 오전 4시에 총파업에 들어갈 계획이다.

시내버스의 수송분담률은 2005년 말 기준 27.5%다.

하루 400만 명이 넘는 시민이 버스를 이용한다. 하지만 지하철과 달리 시내버스는 필수 공익사업장이 아니기 때문에 노조가 파업에 들어가더라도 사측이 대체 인력(버스기사)을 투입할 수 없다. 파업 직후 대체 기관사를 투입해 운행률 80~90%를 유지하는 지하철과 달리 버스 파업으로 인한 교통난은 극심할 수밖에 없다.

서울시는 노조의 요구 사항을 모두 들어주면 2000억원대의 추가 적자가 발생하기 때문에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이다.

또 현재도 전체 68개 버스회사가 각각 운송 원가 대비 4%씩의 기본 이윤을 챙기고 있기 때문에 사업조합이 그 이윤을 포기하면서라도 파업은 막아야 한다는 입장이다.

신준봉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