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신들이 보도한 6자회담 대북 지원 내용

중앙일보

입력

베이징에서 열리고 있는 6자회담 참가국들이 북한에 4억 달러에 이르는 중유와 인도적 지원을 제공한다는 데 합의했다고 뉴욕타임스가 합의문 초안을 검토한 미국 관리의 말을 인용해 1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같은 날 워싱턴포스트도 "크리스토퍼 힐 미국측 수석 대표가 '합의 결과가 훌륭하다(excellent)'고 평가했다"고 전했다.

6자 회담 참가국들은 지원 전제 조건으로 북한에 대해 60일 이내 핵 불능화조치(disabling)와 핵 사찰 수용을 요구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오후 발표될 것으로 알려진 합의문에는 중유 50만t과 기타 에너지.인도적 지원을 5개국이 균등하게 부담한다('n분의 1')는 내용이 포함될 것으로 전해졌다. 일본은 대북 지원 합의에 참여하지 않았으나, 4개국이 합의한 대북 지원에는 반대하지 않는다는 입장이다.

회담 참가국들은 합의 내용의 구체적 이행을 위해 향후 워킹그룹을 구성, 세부 사항을 논의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북미관계 워킹그룹'에서는 북한에 대한 테러지원국 명단 해제와 적성국 교역법 관련 논의를 해나가는 내용을 명시하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지 소식통들은 "이번 합의가 북한을 포함한 6자회담 당사국들이 모두 참가했으며, 공동책임을 지고 확실한 북핵 폐기를 전제로 했다는 점에서 지난 94년 제네바 합의와 구별된다"고 평가했다. 당시 미국은 북한의 핵 동결 대가로 중유 50만t을 지원했다.

또 다른 소식통은 "폐쇄 이상의 조치를 타진할 경우 '궁극적으로 핵폐기가 목적'이라는 문구를 합의문에 포함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소식통은 더불어 "대북 지원 규모가 크다는 지적이 있을 수 있으나, 균등 부담 원칙을 지키고 비핵화를 통한 혜택을 관련국이 나눈다는 점에서 새로운 차원의 합의로 평가된다"고 덧붙였다.

의장국인 중국은 이날 오전 10시30분(현지시간)부터 본국 훈령을 받은 각국 수석대표간 회담을 열고, 합의문 내용을 최종 확정해 오후 늦게 공식 발표할 예정이다. 앞서 중국의 친강(秦剛) 외교부 대변인은 "6자회담 참가국들이 대북 지원 합의를 위해 각별한 노력을 기울였다"며 곧 대북 지원 합의문이 발표될 것임을 시사했다.

박연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