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속책방/잡지회사/잡지마진율 줄다리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8면

「서연」은 또 신용카드 사용이 늘어남에 따라 그만큼 수수료(4%) 부담을 안게 됐고, 잡지는 일반도서와 달리 많은 광고수입을 올리고 있으므로 마진율 10% 인상은 타당하다는 주장이다.
88년 출판물 등록자율화이후 과당경쟁으로 고전 중인 갑지사들은 ▲91년현재제작원가가 87년에 비해 2배이상(l01%) 껑충 뛰었으나 정가 인상률은 39.5%에 머물러 수지악화가 심화되었고▲잡지 유통구조상 중간도매상인 총판에 책 자체의 순수제작원가에도 못미치는 정가의 70%에 출고하고 있으며▲안 팔린 잡지는 전량 반품받아 현 종이값으로 처분해야 하는 부담이 크고 ▲마진율 10%인상을 보전하려면 정가를 최소 14.3% 올려야 하는뎨 이는 독자보호차원에서 불가능하다고 맞서고 있다.
요컨대 마진율 인상→독자부담 증가및 소비자물가 상승→구매력 감퇴→서점·잡지사 수익감소로 악순환만 되풀이 할 뿐이라는 주장이다.
한편 객관적 입장에 서있는 출판계에서는 중소 서적상들의 대응이 독자들의 부담증가를 초래하는 만큼 결코 효과적인 방법이 아니라는게 중론이다.
잡지 마진율 인상요구에 앞서 현행 5∼15%밖에 안되는 전문서적·대학교재들의 낮은 마진율을 적정수준으로 끌어올리는 노력이 선행돼야 마땅하다는 것.
또 독자카드제등 적극적인 고객유치방법의 개발, 전문서점으로의 전환, POS시스템의 과감한 도입, 전국적인 조합으로 조직 확대, 「서적삼금고」설립등 도서유통 현대화에 기초한 구조개편 없이는 현재와 같은 중소서점의 위기는 결코 극복될수 없을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아울러 서점의 구조개편과 도서유통 현대화는 출판문학발전의 핵심문제인 만큼 중소서적상들에게만 맡겨둘 일이 아니라 정부의 과감한 지원은 물론 출판·잡지계가 공동으로 대처할 때 비로소 가능하리라고 내다봤다.
전국서적상조합연합회는 7일 창립 42돌 기념식을 갖고 잡지 마진율 인상 요구 외에▲서점중소기업고유업종으로 지정, 보호·육성해 줄것▲국내 도서시장의 개방을 최대한 연기할 최대한 연기할 것▲대형서점인가때 지역균형개발 차원에서 적절하게 안배토록 노력할 것▲서울 종로1가에 새로운 대형서점을 건립 중인 영풍그룹은 개점에 앞서 중소서점과 공존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할 것 등을 호소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