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 배출권 거래소' 중국에 만든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6면

중국이 개발도상국으로는 처음으로 '탄소 배출권 거래소'를 유치하는 작업에 착수했다.

파이낸셜 타임스(FT)는 중국과 유엔이 베이징(北京)에 국제 탄소 배출권 거래소 설립을 추진 중이라고 6일 보도했다. 신문은 "유엔개발계획(UNDP)이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과학기술부와 공동으로 탄소 배출권 거래소를 설립해 글로벌 허브로 육성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라며 "이 안이 실현될 경우 베이징은 수십억 달러 규모의 탄소 배출권 거래가 이뤄지는 중심지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할리드 말릭 중국 주재 유엔 조정관은 "베이징 거래소를 올해 안에 설립하길 희망한다"며 "이르면 이를수록 좋다"고 말했다.

탄소 배출권 거래소는 2005년 2월 발효된 교토의정서에 근거해 이산화탄소 등의 온실가스를 배출할 수 있는 권리(carbon credits)를 사고파는 곳이다. 베이징에 설립될 거래소는 미국 시카고와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등에서 운영 중인 민간 차원의 거래소들과는 달리 유엔이 공인한 최초의 공식 거래소가 된다.

유엔은 중국에 탄소 배출권 거래소를 설립함으로써 주요 대기 오염물질 배출국인 중국에 환경에 대한 경각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중국은 현재 미국에 이어 세계 2위의 온실가스 배출국이다. 유엔은 중국이 2009년이면 미국을 추월해 세계 최대 배출국이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하지만 중국은 현재 2012년까지 유효한 교토의정서에 따른 온실가스 감축 의무가 없는 개발도상국 지위를 부여받고 있어 배출권 판매에 유리한 입장이다. 현재 탄소 배출권은 국제시장에서 t당 15~18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세계 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까지 탄소 배출권 거래 시장 규모는 220억 달러로 2005년 전체 거래 규모(110억 달러)의 두 배에 육박했다. 이 중 개도국으로부터 나온 배출권 거래 규모는 30억 달러에 이르렀다. 유엔은 선진국이 개도국의 배출권을 사면서 지급한 돈이 해당국의 이산화탄소 배출 감소를 위해 투자되도록 유도하는 정책을 펴고 있다.

유철종 기자

◆탄소 배출권 거래소란=지구 온난화의 주범인 이산화탄소(CO2) 등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기 위해 탄소 배출권에 가격을 매겨 거래하는 시장이다. 교토의정서에 따르면 유럽연합(EU) 회원국과 일본 등 38개국은 2008~2012년 온실가스 배출량을 1990년 수준보다 평균 5% 줄여야 한다. 이에 따라 EU는 회원국들에 온실가스 배출량 8% 감축을 의무화했다. 이 목표를 채우지 못하는 국가나 기업들은 벌금을 내든지, 거래소에서 탄소 배출권을 사야 한다. 반면 감축 의무 대상국이 아니거나 배출량이 적은 개도국은 배출권을 팔 수 있다. 배출권 발급 권한은 유엔이 갖고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