崔 "측근 비리 꼭 밝혀낼 것"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한나라당이 정권에 대한 전면투쟁을 시작했다. 최병렬 대표가 앞장섰다. 그는 26일부터 무기한 단식농성에 들어간다. 소속 의원 1백49명 가운데 김홍신 의원을 빼곤 모두 의원직 사퇴서를 작성해 崔대표에게 맡겼다. 당직자들은 "崔대표가 필요하다고 판단할 때는 언제든 의원직 전원 사퇴라는 카드를 쓸 수 있도록 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나라당 의원들은 국회 활동도 모두 보이콧했다. 대신 지역구 등에서 노무현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가 부당하다는 점을 알리기로 했다.

이날 盧대통령이 특검법안을 거부하기로 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박진 대변인은 "대통령이 특검법안을 거부한 것은 의회정치에 대한 부정이며, 민주주의에 대한 폭거"라고 강력히 비난했다. 그러면서 거부권을 즉각 철회할 것을 요구했다. 지도부는 긴급 비상대책회의와 의원총회를 잇따라 소집했다. 의총 직후 의원들이 작성한 사퇴서를 받아든 崔대표는 "동지 여러분이 스스로 제출한 의원직 사퇴서를 받아놓는 일이 생길 것이라곤 상상도 못했다"고 말했다.

그는 "盧대통령은 자신의 치부를 덮고, 내년 총선 대책만을 생각하고 있다"고 비난하면서 "반드시 盧대통령과 그 주변 비리를 밝혀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다짐했다. 그러면서 盧대통령에 대해 1대1로 TV 토론을 할 것을 제의했다. 이 같은 결정 과정엔 진통도 있었다. 의총에서 난상토론이 벌어졌기 때문이다. 정병국 의원은 "대통령이 막가파식으로 가고 있는데 우리도 비상한 대응을 해야 한다"며 의원직 총사퇴를 주장했다.

반면 남경필.원희룡 의원 등은 "특검법안을 왜 재의하지 않는지 국민이 의문을 갖고 있으므로 당당하게 재의에 부치는 게 옳다"고 했다. 이병석 의원은 대표의 단식농성을 제안했고, 崔대표도 "나도 생각했던 방안"이라며 이를 수용했다. 崔대표는 "가장 현명한 것은 강온론을 합쳐 국민이 이해해 주는 차원에서 싸우는 것"이라며 일단 국회 등원 거부와 지역구 홍보 등의 투쟁 방안을 제시했다.

그러면서 특검법의 재의결 추진 여부에 대해서는 "정치는 생물"이라며 여건에 따라 추진할 수 있음을 시사했다.

그러나 당 일각에선 "국회 문을 닫고 각종 민생 현안을 볼모로 잡는 투쟁이 과연 성공할지 의문"이라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남경필 의원은 의총에서 "盧대통령의 전략은 야당을 같이 끌어안고 나락으로 빠지면서 신당만은 띄우겠다는 것"이라며 "우리가 브레이크 없이 가면 이런 전략에 말려드는 것"이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이상일.이가영 기자<leesi@joongang.co.kr>
사진=안성식 기자 <ansesi@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