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도시 부실 정부조사도 부실/42명이 열흘간 1백32개현장 강행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7면

◎“업계에만 책임 떠맡겨”
신도시 부실시공여부를 가리기 위해 실시한 정부합동조사자체가 부실했다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13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감리자가 현장에 상주하지 않은 것으로 발표됐던 4개사중 (주)건영의 경우 부천시로부터 중동신도시에 시영아파트를 지어달라는 발주만 받은 시공업체로서 실제감리의무는 사업주체인 부천시가 지게되어 있는데도 정부가 사업자와 시공자를 혼동,건영을 감리불성실업체로 발표했다.
또 합동조사반은 6개업체 현장에서 콘크리트강도가 기준치에 미달됐다고 발표했으나 조사방식자체가 테스트해머를 이용,건물겉면을 임의로 선정해 두드려보는 간이조사에 불과했다.
정부는 특히 이들 6개현장에 레미콘을 납품했던 11개사의 명단을 추가로 발표했는데 해당 레미콘업체 대표들이 12일 건설부로 찾아와 여러 레미콘회사의 제품들이 섞여 타설됐기 때문에 어느 회사의 공급분이 문제가 되는지가 확인되지 않은 상황에서 레미콘공급사 명단을 전부 발표,회사이미지에 먹칠을 했다고 항의했다.
한편 공진청이 건설부의 의뢰를 받아 레미콘생산업체들의 제품제조서류를 조사한 결과 1개업체에서 시멘트가 기준치보다 적게 투입되기는 했으나 기준강도에 미달된 레미콘을 만든 업체는 하나도 없어 생산단계에서는 별문제가 없었던 것으로 나타나 혼선이 빚어지고 있다.
업계에서는 이와 관련,『10일 동안의 짧은 기간에 42명의 적은 인력으로 5개 신도시,1백32개현장,1천3백16개동 전체를 조사한다는 것 자체가 무리』라며 『정부가 부실시공의 책임을 업계에 떠넘기려 하고 있다』는 지적까지 하고 있다.
정부합동조사는 지난달 25일∼지난 6일 건설부·공진청·주공 및 관할시·군관계자들이 합동으로 실시했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