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보」 결집 재시도/민중당·재야/“광역패배 만회” 변신 서둘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이번 선거에서 「의석 1개」를 획득,싫지 않은 결과를 낸 민중당도 광역후 야권개편에 의욕을 보이고 있다.
이와 함께 5,6월 시국투쟁을 주도한 「공안통치분쇄와 민주정부수립을 위한 국민회의」도 사안별 회의체에서 상설적 공동투쟁체로 바꾼지 10여일 밖에 안됐지만 재야출신 후보들의 참패와 냉담한 여론에 어떤 식으로든 자기변신을 해야할 「위기」에 직면해 있다.
「참여와 자치를 위한 시민연대회의」는 시민세력의 구축엔 실패했으나 좌절 보다는 꾸준한 시민운동을 전개해 지방의회와 정치권에 대한 감시자 역할을 수행하겠다는 입장.
이재오 민중당사무총장은 『보수정치는 끝나고 보혁구도만이 대안일 수 있음이 이번 선거에서 증명됐다』고 말했다.
그는 『이철·이해찬·노무현·양성우·박석무 의원과 이부영 민주당부총재 등 기존 정치권의 의원과 「국민회의」의 전교조·전노협·전민련·전농의 주요간부들을 접촉해 「진보정당의 대형화」를 꾀해보겠다』고 밝혔다.
민중당측은 『선거에서 민중당 45명 후보가 출마한 지역에서 16%의 득표율을 보여 진보정당의 성공가능성을 보여준데다 ▲보수야당이 참패하고 ▲민자당이 국민적 지지를 받았기 때문에 압승한 것이 아니라는 판단하에 보혁구도로의 재편이 요구되는 상황』이라고 주장했다.
지역갈등구도와 공천잡음 등 보수정치행태를 극복하는 길은 선명한 정책대결의 정치판이 새로 짜여져야 한다는 논리.
이총장은 이제 비정치세력화된 재야·시민운동은 선거에서 진출할 수 없음이 입증됐으므로 모든 정권교체를 희망하는 세력들이 진보정당의 확대강화속에 결집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국민회의」도 6·29 제6차 국민대회를 계획하고 있긴 하지만 대중투쟁이 더이상 유효한 수단이 되지 못한다는 인식을 하고 있어 장기적인 지구전체제로 전환했다.
공권력의 압박과 일반 시민의 따가운 여론을 견뎌내는 한편 야권통합을 촉진하는 역할을 보이지 않게 하겠다는 것이다.
그러나 여전히 민주­반민주구도하의 「민주연합론」(지금까지는 김대중 중심의 통일전선개념)으로 나가야 하는지 보혁구도지향의 진보세력강화론(이경우 김 신민총재의 후퇴가 전제)인지의 논쟁이 남아있는 상태.
백기완·계훈제씨 등 고문들은 실질적 영향력이 약화되고 문익환 목사마저 재수감돼 재야권이나 정치권 재편의 변수는 상징적 차원에서만 머무를 것이라는 평가.
시민연대회의는 ▲시민참여의 지역민주주의 실현 ▲지역공동체형성 ▲정치풍토쇄신운동 ▲지역정책과제 개발 등 처음부터 다양한 운동프로그램을 만들어놓고 있어 선거패배와 관계없이 계속 사업을 벌여나가겠다는 방침.<전영기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