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담보대출 금리 7%대 진입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2면

주택담보대출을 얻어 쓴 사람들의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주택담보대출 금리의 기준이 되는 양도성예금증서(CD)가 연일 연중 최고치를 기록하며 오르는 데다 시중은행들이 가산금리까지 높이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소득이 적은 서민 계층은 '이자 폭탄'에 불안해하고 있다. 가계나 금융회사 모두 적극적으로 주택담보대출 위험 관리에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 확산되고 있다.

◆ 기준금리와 가산금리 모두 오른다=우리은행은 1월 2일부터 주택담보대출 가산금리를 0.2%포인트 올리기로 했다. 이에 따라 내년 초 우리은행 주택대출금리는 연 5.75~7.05%로 오르게 된다. 국민.하나은행에 이어 일주일 새 주택담보대출 가산금리를 인상한 은행이 세 곳으로 늘어났다.

우리은행의 경우 올해 주택대출 금리가 가장 낮았을 때(2월)와 내년 초 금리를 비교하면 약 0.8%포인트 올랐다. 1억원을 주택담보대출로 빌렸다면 연간 약 80만원의 이자를 더 내야 한다는 얘기다.

가산금리 인상보다 더 위협적인 것은 CD금리 상승이다. 시중은행들은 대개 CD금리에 가산금리를 붙여 주택대출 금리를 정한다. 그런데 CD금리는 29일 현재 연 4.86%로 2003년 3월 21일(4.88%) 이후 3년9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 서민층 부담 가중=금융 당국의 주택대출 억제에서 비롯된 주택대출 금리 인상은 이미 서민층을 짓누르고 있다. 국민은행이 전국 2000가구를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가구당 월소득 150만원 미만 계층의 월소득 대비 원리금 상환액 비율은 55.9%로 나타났다. 100만원 버는 가구에서 대출 원리금 상환에 55만9000원을 쓰고 있다는 얘기다. 매달 250만~350만원을 버는 가구의 이 비율이 12.9%에 불과한 것을 감안하면 서민 가구의 주택대출 상환 부담이 큰 셈이다. 더구나 조사 시점이 주택대출 금리가 급등하기 전인 10월인 점을 고려하면 서민 가구의 부담은 그동안 더 커졌다고 할 수 있다. 국민은행 심철웅 팀장은 "저소득 가구의 상환 부담이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이런 상황에서도 집값은 계속 오를 것이라고 보는 사람이 많았다. 국민은행 조사에서 응답자의 45.5%는 내년에도 부동산 가격이 오를 것으로 전망했다. 내린다고 보는 쪽은 9.8%에 불과했다. 내년에도 주택대출을 얻어 집을 사려는 수요가 여전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에 따라 가계대출로 인한 금융 불안에 대한 경고음이 커지고 있다. 9월 말 현재 가계 신용 잔액이 558조원을 넘어 2002년 카드 사태 직전보다 40% 늘어난 사상 최대 수준에 도달해 있는 점이 예사롭지 않다는 것이다.

국민은행 연구소는 이날 "주택담보대출과 기타 대출을 동시에 안고 있는 가구, 단기 대출을 과하게 보유한 가구, 유동성이 낮은 자산을 보유하고 있는 가구는 위험관리 필요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또 "가계 부채로 인한 금융 부실을 미리 방지하기 위해 금융기관의 대출심사 강화와 리스크 관리가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이상렬.최익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