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업체 영세 기술 낙후/자본금 1억미만 47%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6면

◎페놀등 액체폐기물 처리시설 수입의존/고장나면 제때 수리도 못해
국내 공해방지시설업체들이 영세하고 기술수준도 낙후돼있어 환경산업의 육성·개발이 시급한 과제로 지적되고 있다.
23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대기·수질오염 방지시설 등을 제작·설치하는 환경업체 수는 5백40곳으로 지난 80년의 1백60곳보다 3배이상 늘어났으나 이중 자본금 1억원 미만의 영세기업이 47%에 이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업체당 연간 평균 수주액은 6억원 수준에 그치고 있으며 상위 20개 업체가 국내 총수주액(3천억원 규모)의 절반을 차지하는등 대부분 중소기업들이어서 자체 기술개발에도 한계가 있는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페놀등 액체상태의 페기물처리시설의 경우 소각작업과 소각후 발생하는 대기오염등 2차공해방지기술이 함께 갖춰져야 하므로 국내업체들이 외국에 비싼 로열티를 물고 기술을 도입하거나 설비자체를 그대로 도입해 쓰고 있는 실정이다.
이번에 문제가 된 두산전자의 페놀처리 소각로도 국내제작을 못하고 지난 86년 일본업체로부터 5억원에 도입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 수입품들은 특히 전문지식을 갖추지 못한 오퍼상등에 의해 상당수가 도입되고 있는등 고장이 났을 경우 제때에 처리하기가 어려운 점도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업계가 이같이 낙후돼있는 것은 정부와 설비수요업체들의 환경오염에 대한 적극적인 노력이 부족,시장자체가 아직 제대로 형성돼있지 못하기 때문으로 분석되고 있다.
정부예산중 환경관련예산은 GNP의 0.13%(89년)인 2천여억원 수준에 그치고 있으며 민간업체의 공해방지시설 투자규모도 전체설비투자액의 0.7%에 불과한 실정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