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백47명 무투표당선/4백41곳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경쟁저조 평균 2.35대1/지자제 등록마감/주말부터 유세전
시·군·구의회의원선거의 후보등록이 13일로 마감됨에 따라 후보들은 본격적인 선거전에 돌입했다.<관련기사 3,20,21,23면>
13일 마감된 시·군·구의회선거 후보자등록에서는 저조한 등록을 보여 1만1백20명이 입후보,평균 2.35대1의 경쟁률을 보였다.
후보자수가 의원정수에 미달한 지역은 한곳도 없었으나 경쟁률이 1대1에 그쳐 무투표당선이 확정된 지역은 4백41개 선거구,5백47명에 달했다.
이는 전체선거구의 12.3%,전체의원수의 12.7%에 해당한다.
시·도별로 경쟁률이 가장 높은 곳은 강원·충남·전남등으로 2.8대1을 기록했고 대구지역은 1.6대1로 가장 낮은 경쟁률을 보였다.
또 서울이 1.9대1,부산 2.0대1,인천 1.8대1,광주 2.2대1,대전 2.1대1로 대도시 지역의 경쟁률은 전국 평균경쟁률에 크게 못미치는 현상을 나타냈다.
선관위측은 경쟁률이 전반적으로 저조한데 대해 유권자들의 정치에 대한 불신과 정당의 후보 조정작업,선거일정 촉박등에 원인이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이번 후보등록에서는 전반적으로 민자당과 친여후보가 압도적인 가운데 특히 각 정당의 지역적 지지기반이 분명히 나눠져 민자당 및 친여후보가 대구·경북에서 95%이상인 반면 평민당은 광주·전남북에서 의원정수의 93%이상의 후보를 낸 것으로 분석돼 여야 모두 지역당의 한계를 전혀 극복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민자당이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전체후보자의 42.8%(4천3백39명)가 민자당의 부위원장·협의회장·당원으로 나타났고 평민당 출신후보는 14%(1천4백16명),민주당출신은 1.8%(1백82명),민중당출신은 0.2%(19명)인 것으로 집계됐다.
무소속후보는 41.2%인 4천1백72명으로 집계됐는데 이들중 과반수가 친여성향으로 민자당은 분석하고 있어 민자당출신을 합하면 63%정도가 친여후보인 것으로 추정했다.
지역별로 따지면 서울의 경우 전체 1천4백41명중 ▲민자 45.8% ▲평민 28.3% ▲민주 1.7% ▲민중 0.8% ▲무소속 23.2% 등 대체로 고른 분포이나 영·호남지역에선 각 당의 차이가 크게 대별되고 있다.
부산·대구·경북·경남의 경우 민자당출신(무소속 친여성향제외)은 전체의 44.7%인 1천3백68명으로 압도적인데 비해 평민당후보는 19명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고 이에 비해 광주·전남·전북은 평민당후보가 38.6%로 민자당후보(24.3%)보다 수적 우세를 보였다.
평민당은 당원 및 친평민계인사 1천5백24명이 후보로 등록,의원정수대비 35.3%를 기록했다고 공식발표했다.
의원 정수대비 평민당후보는 아성인 광주 1백7명(97%),전남 3백14명(93%) 전북 2백69명(96%)으로 93∼97% 등록했고 서울은 3백97명이나 경북 16명,대구 1명 등으로 대구·경북지역에서는 거의 후보가 나오지 못한 것으로 분석했다.
민주당은 당적 보유자가 서울 32명,부산 45명,대구 20명등 비호남지역에서만 3백3명이라고 발표하고 이중 선거포스터등의 경력표시란에 민주당원임을 표시할 후보는 2백여명 정도로 집계했다.
□시·군·구의회 후보등록 상황
●시도 의회수 선거구 의원정수 후 보 자
서울 22 494 778 1,440
부산 12 222 303 605
대구 7 141 182 288
인천 6 106 153 280
광주 4 92 110 247
대전 5 76 91 191
경기 36 409 526 1,431
강원 22 223 240 672
충북 13 158 173 414
충남 20 206 223 614
전북 19 267 280 749
전남 27 325 337 933
경북 34 380 404 1,014
경남 29 420 453 1,147
제주 4 43 51 95
계 260 3,562 4,304 10,120
●시도 경 쟁 률 무투표지역
선거구 의원정수
서울 1.9:1 83 144
부산 2.0:1 49 63
대구 1.6:1 60 75
인천 1.8:1 34 40
광주 2.2:1 9 10
대전 2.1:1 21 23
경기 2.7:1 13 14
강원 2.8:1 15 15
충북 2.4:1 20 22
충남 2.8:1 10 10
전북 2.7:1 12 12
전남 2.8:1 14 14
경북 2.5:1 44 45
경남 2.5:1 46 47
제주 1.9:1 11 13
계 2.35:1 441 547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