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입제도 개선안」 결정 연기/중교심등 자문단체 이견 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4면

◎공청회 열어 내달 확정/교육부
교육부가 2월말까지 확정키로 했던 94학년도 실시 「대입제도 개선안」이 당초 약속보다 늦어진 3월중에야 확정될 전망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89년 8월 고교내신·대학교육 적성시험 대학별고사를 골격으로 하는 한국대학교육협의회의 대입제도 개선안이 제시된 이후 중앙교육심의회·교육정책자문회의·대학교육심의회 등 교육정책관련 대통령 및 교육부장관의 자문기구들이 계속 이견을 내놓아 최종안 마련에 어려움이 많다』며 『3월초 각계의 의견수렴을 위한 공청회를 가진 뒤 개선안을 확정할 계획』이라고 23일 밝혔다.
교육부가 추진하고 있는 개선안은 고교 내신성적을 40% 이상 반영하고,적성시험 반영비율과 대학별고사의 실시여부·과목수·반영비율을 대학측에 일임하는 형태다.
이 안에 대해 「중교심」은 적성시험 반영비율은 20% 이상으로 하고 적성시험 형태도 객관식 위주가 아닌 주관식도 출제할 것을 제의했다.
교육정책자문회도 교육부의 개선안으로만 대학입학시험을 치르지 말고 ▲고교내신 ▲고교내신·적성시험 ▲고교내신·대학별고사 ▲고교내신·적성시험·대학별 고사 등 네가지 유형중 대학이 하나를 선택해 실시하는 방안을 내놓았다.
교육부는 현재 자체안과 자문기구의 의견을 대학교육심의회에 의뢰,최종심의를 요청해두고 있다.
대교심은 지난 20일 전체회의를 갖고 논의를 했으나 적성시험의 모호한 성격등의 이유 때문에 결론을 내리지 못하고 6인소위원회를 구성,토의만 계속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같이 개선안 확정이 늦어짐에 따라 새 대입제도가 적용되는 고교 1년생들과 학무모들은 제도가 어떻게 바뀔지 불안해 하고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