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회고록 대담자 “김정숙 인도행이 문제면, 김건희 쇼핑도 문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2018년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의 공식 초청으로 인도를 방문한 문재인 전 대통령 영부인 김정숙 여사가 타지마할을 방문해 기념촬영을 하는 모습. 연합뉴스

2018년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의 공식 초청으로 인도를 방문한 문재인 전 대통령 영부인 김정숙 여사가 타지마할을 방문해 기념촬영을 하는 모습. 연합뉴스

문재인 전 대통령이 회고록에서 영부인 김정숙 여사의 2018년 인도 방문을 “(정상 배우자의) 첫 단독외교”라고 언급을 두고 논란이 이어지는 가운데, 회고록 대담자인 최종건 전 외교부 제1차관이 “그러면 (윤석열 대통령 부인) 김건희 여사가 명품 쇼핑한 것을 계속 문제 삼아야 되겠나”라고 말했다.

“우호협력국 인도의 초청…여행 운운은 인도에 대한 모욕” 

최 전 차관은 20일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당시 인도가 김정숙 여사 초청을 제안했다”고 밝혔다.

최 전 차관은 “2018년 11월 문 대통령의 인도 방문을 나렌드라 모디 총리가 요청했다”며 “그런데 대통령은 7월에도 인도를 방문해서 또 11월에 간다는 게 머쓱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문 대통령이 다른 일정으로 인도 방문이 어려워지자 인도 측에서는 김정숙 여사 초청을 제안해 왔다”며 “당시 인도는 김 여사가 방문하면 정상급 의전을 준비하겠다고 했다”고 덧붙였다.

이어 “우호협력국 인도 측의 국가적 의미가 담긴 초청과 제안을 두고 지금에 와서 개인 여행이니 버킷리스트 운운하는 것은 인도 국민과 인도 총리에 대한 모욕적 언사로 비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최 전 차관은 “일부 여당 의원이 인도 측으로부터 김정숙 여사 초청장이 나중에 온 문제가 있다고 제기하고 있다”면서 “인도 측이 최초 제안한 대통령 초청이 무산되자 여사 초청을 제안한 부분은 분명한 사실”이라고 재차 말했다.

윤석열 대통령과 부인 김건희 여사가 지난해 7월 리투아니아 방문을 마치고 서울공항을 통해 귀국하는 모습. 사진 대통령실

윤석열 대통령과 부인 김건희 여사가 지난해 7월 리투아니아 방문을 마치고 서울공항을 통해 귀국하는 모습. 사진 대통령실

아울러 “만약에 이 부분을 자꾸 문제를 삼는다면, (윤석열)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전쟁터에 갔는데 김건희 여사가 명품 쇼핑한 것을 가지고 계속 문제 삼아야 되겠냐”고 되물었다.

앞서 문 전 대통령은 18일 출간한 『변방에서 중심으로: 문재인 회고록 외교안보편』에서 자신의 2018년 인도 방문을 언급하며 “당시 인도 모디 총리가 허황후 기념공원 조성 계획을 내게 설명하면서, 공원 개장 때 꼭 다시 와달라고 초청했다”고 썼다.

문 전 대통령은 책에서 “나중에 기념공원을 개장할 때 인도 정부로부터 초청이 왔는데 나로서는 인도를 또 가기가 어려웠다”며 “그래서 고사를 했더니 인도 측에서 ‘그렇다면 아내를 대신 보내달라’고 초청을 하더라. 그래서 아내가 대신 개장 행사에 참석한 것”이라고 말했다.

문 전 대통령은 “제가 이 얘기를 소상하게 하는 이유는, 지금까지도 아내가 나랏돈으로 관광여행을 한 것처럼 악의적으로 왜곡을 하는 사람들이 있기 때문”이라고 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