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의도 150m 상공 뜨는 '서울의 달'…주민들 "안전하냐" 걱정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17일 서울 여의도공원 잔디마당에서 빨간색 포크레인이 ‘서울의 달 설치 공사’를 하고 있다. 박종서 기자

17일 서울 여의도공원 잔디마당에서 빨간색 포크레인이 ‘서울의 달 설치 공사’를 하고 있다. 박종서 기자

17년째 여의도공원 산책을 즐기는 A씨는 지난 1일 산책로에서 못 보던 안내 글귀를 발견했다. 여의도 잔디마당 앞엔 ‘계류식 가스기구 서울의 달 설치 공사’라는 문구가 적힌 플래카드가 나무에 걸려있었다. 공사 현장에선 안전 헬멧을 쓴 인부들이 굴삭기로 나무를 뽑고 잔디마당을 파헤치고 있었다. A씨는 “인근 어린이집 아이들이 뛰어놀던 공간에서 공사를 하고 있어 걱정스럽다”며 “열기구처럼 높이 올라가는 장치라 사고도 우려된다”고 말했다.

서울시가 6월부터 여의도공원 150m 상공에 띄우는 계류식 가스기구 ‘서울의 달’을 두고 시민들 사이에서 찬반이 엇갈리고 있다. A씨처럼 사업에 반대하는 일부 주민은 서울시·영등포구에 민원을 제기했다. 온라인 커뮤니티에선 도심 속 계류식 가스기구의 안정성에 대해 의문도 제기됐다. 계류식 가스기구는 헬륨가스의 부력을 이용해 열기구처럼 비행하는 장치다.

반면에 ‘서울의 달’ 운영을 반기는 주민들도 적지 않다. 여의도 공원 인근에서 음식점을 운영 중인 상인 박모(60)씨는 “여의도 한강공원에 밀집된 관광객이 유입되지 않을까 기대 중”이라고 말했다. 여의도 공원 근처 아파트에 30년간 거주 중인 이모(67)씨는 “새로운 랜드마크가 생겨 기대된다. 얼른 타보고 싶다”고 말했다.

17일 오전 11시, 여의도공원 잔디마당. 계류식 가스기구 '서울의 달' 설치 공사 현장. 박종서 기자

17일 오전 11시, 여의도공원 잔디마당. 계류식 가스기구 '서울의 달' 설치 공사 현장. 박종서 기자

서울시·영등포구는 주민의 목소리를 반영한 뒤 사업을 진행 중이라는 입장이다. 서울시는 지난해 9월 27일부터 10월 10일까지 서울시 홈페이지에서 주민 의견을 청취했다. 서울시는 지난달 30일부터 여의도공원 잔디마당에 가스기구 설치 공사를 진행 중이다.

서울시는 ‘서울의 달’의 안전성에도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해당 기종은 현재까지 한 번도 사고가 없었던 기종이다. 매주 월요일에 자체 점검을 해 안전성을 최우선으로 고려할 것”이라며 “기상 상황과 탑승객 수를 고려해 최대한 안전하게 보수적 운영을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일부 주민이 제기한 녹지 훼손 우려에 대해서도 “공사 현장에 있던 나무를 전부 공원 내 다른 장소로 옮겨 심었다”고 말했다. 서울시에 따르면 공사 현장에 심겨 있던 교목 약 17주, 관목 약 200주를 공원 내 다른 장소로 옮겨 심는 작업이 완료됐다.

'서울의 달' 예상 조감도. 사진 서울시 홈페이지

'서울의 달' 예상 조감도. 사진 서울시 홈페이지

‘서울의 달’은 여의도와 서울의 야경을 즐길 수 있는 관광 사업으로 서울시가 약 47억원을 투입해 추진 중이다. 계류식 가스기구는 프랑스 제조업체 에오로필 사스(Aerophile Sas)사의 제품을 들인다. 1번 비행 시 정원은 30명으로 약 15분간 여의도 상공을 비행한다. 최고 150m 상공에서 야경을 조망할 수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