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부동산 정책, 포퓰리즘에 휘둘리지 마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4면

정부가 아파트 분양가 규제 여부를 조만간 결정할 모양이다. 당초 내년 2월까지 결론을 내기로 미뤄둔 사안인데 여당인 열린우리당이 분양가 대책을 서두르면서 여기에 보조를 맞추겠다는 것이다.

여당이 추진하는 분양가 규제의 핵심은 두 가지다. 아파트 원가 공개를 확대하고 분양가 상한제를 재도입하겠다는 것이다. 이는 분양가를 규제하면 전체 집값을 떨어뜨릴 수 있다는 그릇된 발상에서 비롯됐다. 여기에 일부 시민단체가 가세하면서 분양가 규제가 흡사 지고지선의 부동산 대책인 양 부풀려지고 있다. 그러나 분양가 규제는 의도한 효과는 거두지 못하면서 시장만 왜곡하는 반시장적 규제에 불과하다.

우리는 분양가 규제로는 집값을 잡을 수 없을뿐더러, 오히려 청약 과열을 부추기고 투기를 조장하며, 궁극적으로 주택 공급을 위축시킬 것이라는 점을 누차 지적했다. 아파트 원가 공개를 건설회사에 강제하는 것은 그 자체로 반기업적.반시장적일 뿐만 아니라 아파트 공급 축소와 질 저하의 지름길이다. 분양가 상한제 역시 인위적으로 분양가를 억누름으로써 로또식 청약 과열과 투기 수요를 촉발시키는 기폭제가 될 수밖에 없다. 공급이 줄고 수요가 늘면 집값은 결국 다시 오르게 돼 있다. 전체 주택의 3% 안팎에 불과한 신규 분양 아파트값을 억지로 낮추면 나머지 97%의 기존 주택값이 떨어질 것이란 비뚤어진 발상으로는 결코 집값을 잡을 수 없다.

공공부문에서 영세 서민을 위해 짓는 아파트는 얼마든지 분양가를 공개하고 시가보다 싼값에 공급한다고 해서 문제될 게 없다. 그러나 민간이 지어 공급하는 중대형.고급 아파트값은 정부가 나설 일이 아니라 시장이 결정할 문제다. 1998년 민영 아파트의 분양가를 자율화한 것은 이 때문이다.

정부는 섣부른 대중영합주의(포퓰리즘)에서 비롯된 여당의 분양가 규제 요구에 휘둘리지 말고, 시장원리에 따른 주택공급정책을 펴라. 시간이 걸리더라도 그 길만이 주택시장의 왜곡을 막고 집값을 안정시키는 첩경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