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우각녹내장 조기발견이 중요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대기업 임원인 40대 후반 이모 씨는 지금까지 안경을 써 본 적이 없다. 그만큼 눈이 좋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얼마 전 회사에서 건강검진을 받다가 안압이 높고 시신경에 이상이 있다는 말을 듣게 됐다. 이게 무슨 소린가 싶어 안과를 찾은 이모 씨는 정밀검사 결과 자신이 광우각녹내장이라는 사실을 알게 됐다.
우리 눈이 정상적인 구조와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눈 속의 압력, 즉 안압이 필요하다. 눈은 영양분이 있는 물(방수)로 채워져 있는데 방수의 생성과 배출의 균형에 이상이 생겨 방수의 양이 많아지면 안압이 높아지고, 시신경에 이상을 초래할 정도가 되면 녹내장을 의심할 수 있다.
녹내장의 원인은 아직 확실히 밝혀져 있지 않다. 그러나 나이가 많을수록 더 잘 발생한다. 또한 가족 중에 녹내장을 앓고 있는 사람이 있다든지 고도근시나 원시, 비만하거나 고혈압, 당뇨병 등의 질환을 갖고 있는 사람은 녹내장이 올 확률이 높다.
녹내장은 별다른 자각 증상이 없다가 어느 순간 실명 위기에 놓일 수 있는 위험한 질환이다. 무엇보다도 조기발견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 마흔이 넘은 나이라면 1년에 두 번 정도는 안과를 찾아 검사를 받는 것이 좋다.
녹내장 치료의 기본은 방수의 배출을 증가시키거나 방수의 생성을 억제시켜 눈 속의 방수 량을 줄임으로써 안압을 하강시키는 것이다. 치료 방법으로는 약물 치료와 레이저 치료 그리고 수술 치료가 있다. 이모 씨와 같은 광우각녹내장은 녹내장 가운데 가장 흔한 형태이다. 대부분 말기까지 자각 증상이 거의 없어 말기에 뒤늦게 발견하는 경우가 많다. 광우각녹내장이 어느 정도 진행되면 많은 물을 섭취했을 때 상승된 안압으로 인해 가벼운 안통이나 두통이 온다. 또한 일부 광우각녹내장에서 안압의 급격한 상승으로 각막에 부종이 초래되어 불빛 주위에 무지개가 보이기도 한다.
광우각녹내장의 경우 약물치료에도 불구하고 안압 조절이 안 되면 레이저 광선치료를 해야 한다. 이 방법으로도 안 될 때는 섬유주절제술을 사용하여 치료한다. 치료보다도 중요한 것은 조기발견이므로 마흔이 넘은 나이라면 안과를 찾아 검사를 받아 볼 일이다.

■ 도움말 = 밝은빛성모안과(www.lasiklens.org) 김용명 원장(02-3783-4800)

조인스닷컴(Joins.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