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민련 대표 구속 문제삼아 북한 총리회담 협의 제동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서울 통일음악회 불참”도 시사
제3차 고위급회담(11∼14일)과 90송년통일전통음악회(8∼13일)를 앞두고 북측이 베를린 3자회담에 참석했던 전민련 관계자들의 구속을 문제삼아 최종 합의를 거부하고 있어 정부가 애를 먹고 있다.
남북 양측은 5일 오전 판문점에서 고위급회담 북측 대표단의 체류일정 등을 논의하기 위해 연락관 접촉을 가졌으나 북측은 전민련인사 석방을 요구하며 일정협의를 일단 거부했다.
최봉춘 북측 책임연락관은 『연형묵 총리가 전민련 인사구속을 상당히 걱정하고 있으며 오늘은 일정합의도 하지 말라고 지시했다』며 『우리는 2∼3일 내에 서울회담참가 여부를 최종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북측은 그러나 남측이 제시한 체류일정안과 대표단 숙소배치도 등은 접수했다.
양측은 7일 오후 3시 다시 연락관접촉을 갖기로 했으며 정부는 회담시작이 11일인 점을 고려,7일 접촉에서 연 총리일행의 청와대예방 등 체류일정을 확정하고 신변안전보장 각서를 건네줄 방침이다.
이날 접촉에서 남측은 지금까지 세차례 고위급회담 실무대표 접촉에서 합의서 초안작성에 의견접근을 보지 못했던만큼 3차 서울회담 이전에 4차 접촉을 갖는 것은 불필요하다는 점을 북측에 통지했고 북측도 이에 동의했다.
북측은 4일 중앙방송의 시사논평을 통해 전민련 인사가 석방되지 않을 경우 이미 실무절차에 합의한 통일음악회에 참가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뜻을 밝힌 것으로 5일 알려졌다.
통일원에 따르면 북측은 논평에서 『우리측은 체포·구속된 통일애국인사들이 며칠 안으로 석방되지 않으면 평양민족음악단의 통일음악회 참가문제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는 것을 명백히 했다』고 언급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