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심 시위 폭력적" 81%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6면

국민 대다수는 도심에서 열리는 집회와 시위가 폭력적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경찰이 최근 교통혼잡을 이유로 도심 집회를 금지한 것에 대해서는 절대 다수가 지지했다. 이는 운동권의 대부격인 함세웅 신부가 공동위원장인 '평화적 집회시위문화 정착을 위한 민.관 공동위원회'가 도심시위에 대해 벌인 여론조사 결과다. 총리실 산하인 이 위원회가 18~19일 전국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는 응답자의 81.2%가 현재의 시위문화에 대해 '폭력적'이라고 대답했다.

법을 무시한 불법 행동이라는 응답도 72.6%나 됐다. 일반 국민이 도심에서 벌어지는 시위나 집회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가 확인된 것이다.

불법 시위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는 화염병이나 쇠파이프 등 폭력 행위를 꼽는 의견(68.6%)이 가장 많았다. 실제로 시위 때문에 불편을 경험했다는 사람은 절반 정도(45.5%)였는데 이들 중 절대 다수(82.2%)는 교통체증을 가장 큰 불편 사례로 꼽았다.

민주노총(12일)과 한국노총(25일)이 각각 광화문에서 하려던 시위에 대해 경찰이 "교통을 방해하기 때문에 그 지역은 안 된다"고 불허한 데 대해 73.7%가 "찬성한다"고 말했다. 시위로 불편을 겪어본 경험이 있는 사람들의 찬성 의견은 80.2%였다.

시위 대응에 대한 의견도 강경론이 많았다. 정부가 지금보다 더 강력하게 대응해야 한다는 여론(49.7%)이 현재보다 더 유연하게 대응해야 한다는 응답(31.1%)보다 많았다. 질서유지선(폴리스라인)을 위반하면 처벌해야 한다는 의견도 79.5%나 됐다.

우리나라의 평화.준법 시위 정착 정도를 묻는 질문에 "이미 정착했다"고 보는 응답자는 1.3%에 불과했다. 반면 66.2%는 상당 기간 불법.폭력시위가 지속될 것으로 봤다.

정부가 노력하면 평화 시위가 정착될 수 있다는 의견이 55.6%였고 정부의 노력이 별 소용이 없다는 의견은 40.5%였다. 긍정적 전망과 부정적 전망이 혼재돼 있는 셈이다.

평화 시위를 정착시키기 위한 수단은 처벌 강화(11.7%)보다는 대화창구 다원화를 위한 정부 노력(37.3%)을 꼽는 사람이 많았다.

최현철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