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당선인 관저, 육참총장공관 접고 외교장관 공관 등 대안 찾는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6면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취임 후 생활 공간이 될 관저를 다시 선정하기로 했다. 당초 유력하게 검토됐던 서울 용산구 한남동 육군참모총장(육참총장) 공관이 크게 낡아 리모델링에 드는 시간·비용이 예상보다 더 크다는 판단을 내렸기 때문이다.

대통령직인수위원회(인수위) 핵심 관계자는 19일 중앙일보와의 통화에서 “육참총장 공관이 생각보다 보수할 곳이 너무 많다”면서 “47년 된 건물이라 비까지 새고 있어 거의 재건축이 필요한 수준”이라고 말했다. 그간 육참총장이 충남 계룡대 관사를 주로 사용해 와 서울 한남동 관사의 상황이 뒤늦게 확인됐다는 것이다.

윤 당선인은 지난달 20일 대통령 집무실 용산 이전 계획을 직접 발표하면서 “한남동 공관을 하나 쓰기로 했는데, 그 공관을 리모델링하고 필요한 경호시설을 (설치)하는 데 25억원”이라면서 “육군참모총장 공관을 쓰기로 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지난 한 달여간 대통령실 이전 태스크포스(TF)가 리모델링 견적을 추산한 결과, 경호시설 등을 고려하면 예산 내에서 육참총장 공관을 수리하기가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계산이 나왔다고 한다. 대안으로는 한남동 소재 공관 중 가장 규모가 큰 외교부 장관 공관(1만4700㎡) 등 인근 여러 곳이 복수 안으로 검토되고 있다. 대통령 집무실까지의 거리를 고려할 때 한남동 공관촌을 벗어날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한다. 인수위 관계자는 “어디로 갈지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면서 “외교부 공관도 검토 대상 중 하나”라고 말했다.

연회장·접견실·마당 등을 갖추고 있는 외교부 장관 공관의 경우 ‘상대적으로 간단한 리모델링만 거치면 된다’는 의견이 TF 내부에서 제기됐다. 외교부 장관 공관은 외빈 접대 행사 등이 수시로 열리기 때문에 시설도 양호하고 관리 상태도 비교적 좋아 대통령 관저로 쓰기에 무난하다는 판단도 하고 있다고 한다. 다만 외교부 관계자는 이와 관련해 “아직 들은 바가 없다”고 말했다. 외교부 장관 공관을 대통령 관저로 쓸 경우 외교부 장관 공관은 연쇄적 이동이 불가피하게 된다.

새 관저의 위치는 윤 당선인 취임 뒤에 최종 확정된다. TF 관계자는 “어느 곳을 낙점하든 공관을 비우는 쪽에도 대안을 마련해 줘야 한다”고 말했다. 리모델링 공사에 시간이 소요되는 점을 고려해 윤 당선인은 취임 첫날(5월 10일)부터 당분간은 서울 서초동 자택에서 출퇴근하기로 방침을 정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