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외투기업 10곳 중 9곳, 올해 투자계획 못 세워"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문승욱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17일 오전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외국인투자기업인과의 대화에 참석해 외국인투자 유치성과 및 향후 정책 방향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뉴스1

문승욱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17일 오전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외국인투자기업인과의 대화에 참석해 외국인투자 유치성과 및 향후 정책 방향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뉴스1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장기화로 경기 침체가 지속되면서 국내 외국인 투자기업 10곳 중 9곳은 아직 올해 투자 계획을 세우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종업원 수가 100명 이상인 국내 외투기업을 대상으로 채용ㆍ투자 계획을 조사한 결과 응답 기업의 91.1%가 올해 투자 계획이 없거나 아직 계획을 세우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23일 밝혔다.

이 중 올해 투자계획이 없다는 응답은 26.7%, 아직 계획을 세우지 못했다는 응답은 64.4%였다.

올해 투자 계획을 세운 기업은 8.9%에 불과다. 이 중 77.8%는 올해 투자를 작년 수준으로 유지하겠다고 응답했고, 올해 투자를 작년보다 늘리겠다는 기업은 22.2%였다.

또 외투기업 10곳 중 6곳(61.4%)은 아직까지 올해 채용 계획을 마련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채용 계획이 없다는 응답은 14.9%, 아직 계획을 세우지 못했다는 응답은 46.5%였다.

올해 채용 계획을 세운 38.6%의 기업 중에서는 절반 이상(51.3%)이 올해 채용 인원을 작년 수준으로 유지할 계획이라고 응답했다. 작년보다 늘리겠다는 기업은 46.2%, 줄이겠다는 기업은 2.5%였다.

신규 채용을 할 때 계획 중인 여성 채용비중은 27.6%로 남성(72.4%)보다 적었다. 이공계와 비(非)이공계의 채용 비중은 각각 31.7%와 68.3%로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외투기업들이 올해 투자와 신규 채용을 늘리지 못하는 주된 이유는 코로나19 사태 장기화에 따른 경기악화였다.

먼저 올해 투자를 작년보다 늘리지 못하는 이유에 대해 44.1%가 ‘코로나19 지속으로 국내외 경제 및 업종 경기상황이 좋지 않아서’라고 답했다. ‘주요 투자 프로젝트가 이미 완료돼서’(26.5%)라는 응답이 그 뒤를 이었다.

채용을 늘리지 못하는 이유 역시 코로나19로 경기 상황이 좋지 않기 때문이라는 응답이 25.0%로 가장 많았고, 높은 법인세율과 투자 인센티브 부족 때문이라는 응답이 8.3%로 2위였다.

우리 정부가 일자리 창출을 위해 중점적으로 추진해야 할 정책으로는 응답 외투기업 중 가장 많은 34.0%가 ‘세제혜택, 보조금 등 고용 증가 기업에 대한 인센티브 확대’를 꼽았다. 이어 ‘최저임금 인상 자제, 탄력근로제 활용 확대’(27.1%), ‘노동 경직성 완화’(21.8%), ‘혁신산업 출현을 위한 제도적 지원’(10.2%) 등의 순이었다.

전경련은 최저임금과 탄력근로제, 노동경직성 관련 응답이 48.9%에 달한 것에 대해 외투기업들이 우리나라의 노동환경 개선 필요성을 느끼고 있다는 의미라고 분석했다.

김봉만 전경련 국제본부장은 “3월 대선으로 새롭게 출범하는 정부는 기업의 어려움을 고려해 채용과 투자 실적이 좋은 기업에 대한 세제혜택 등 인센티브를 확대해야 한다”며 “최저임금 인상을 자제하고 탄력근로제를 확대해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조성하는 데 초점을 맞춰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