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위기엔 질적 변화 있었다(사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서울총리회담 때는 구체적 합의 있길
평양에서 열린 제2차 남북총리회담은 서로의 입장을 다시 확인했을 뿐 합의문건 하나 마무리짓지 못하고 끝났지만 남북간 공식 창구에 질적 분위기 변화를 가져온 것은 큰 성과로 평가할 만하다.
과거 여러 번 큰 기대를 걸었다가 결국 실망과 좌절감만 안겨줬던 기억이 생생하기 때문에 섣불리 낙관을 할 수 없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분위기차원의 여러 지엽적인 부분에서 아직도 남아 있는 불협화음이 있기는 해도 전체 분위기를 감싸고 있는 봄 기운은 이들을 압도할 만한 강도의 것이라고 우리는 본다.
이 기운이 다음 서울회담에서 꽃피게 하기 위해 남과 북의 회담당사자들은 냉전이 한반도만 남기고 전세계에서 청산되고 있는 시대상황을 철저히 인식하고 오직 민족의 앞날을 생각하는 마음으로 회담에 임하는 자세를 가다듬기를 기대한다.
양측은 이번 회담에서 고위급회담의 지속에 합의,당국간의 상호 입장이해의 폭을 넓혀 신뢰기반의 조성이 필요하다는 인식을 공유했다는 점이 높이 평가받을 만하다.
지금까지의 남북대화가 북측의 일방적 행동으로 중단됐던 선례를 고려한다면 북측이 이번에 먼저 제3차 회담 일정을 제의했다는 사실은 그 동기여하를 일단 접어두고 볼 때 매우 고무적 현상으로 받아들일 만하다.
그것이 내외정세의 급변에 의하든 우리의 유엔 단독가입을 막기 위한 시간벌기 방책이든 간에 북측 내부에 변화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조성되고 있다는 점을 시사한 대목이라 할 수 있다.
다음으로 김일성 주석이 강영훈 총리에게 보인 유연하고도 정중한 태도 역시 이같은 맥락에서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김 주석은 강 총리를 면담하면서 그 아래 인사들이 강 총리에게 대했던 엉거주춤한 자세와는 판이하게 「강 총리」 「총리회담」이라고 딱부러지게 말했다.
북이 그동안 한국의 실체를 부인하려는 의도에서 통일전선 논리의 틀 안으로 당국간 회담을 밀어넣으려는 듯 총리회담을 「고위급회담」으로,강 총리를 「대표 선생」으로 각각 고집해왔던 이중성은 김 주석의 발언으로 결론이 났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김 주석이 우리측의 거듭된 정상회담 제의를 정치협상회의의 개최 주장으로 거부해왔던 전례와는 달리 「총리회담」이 잘돼 정상회담이 빨리 열릴 수 있도록 노력해 달라고 당부한 점이다.
이러한 북의 태도가 남북문제는 결국 상호 실체인정 속에서 고위당국간에 의해 해결될 수밖에 없음을 그들도 인식해가고 있다는 시사이기를 우리는 바란다.
이와 같은 변화의 조짐과 아울러 우리는 마치 시간에 쫓기는 듯한 인상을 줄 정도로 우리측이 정상회담의 조기 개최에 비중을 두는 듯한 협상태도는 재고되어야 한다고 본다. 그것은 아직도 탐색단계에 머물러 있는 남북간 공식관계를 풀어나가는 외교술의 측면에서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보기 때문이다.
우리가 느끼는 분위기의 질적 변화도 앞으로 넘어야 할 험준한 산들을 볼 때 지극히 초보적인 것으로서 서둘러서 큰 돌파구가 열리기를 기대하는 것은 무리임을 지적하고자 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