盧캠프 대선장부도 수사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3면

검찰의 SK 비자금 수사가 한나라당과 민주당의 지난해 대선자금 수사로 궤도를 잡았다.

특검 도입론까지 제기된 참이어서 수사는 여야 정치권, 그리고 청와대를 향해서도 거침없이 진행될 분위기다.

대검 중수부는 28일 이재현 전 한나라당 재정국장을 이틀째 조사, 그가 최돈웅 의원의 아파트 주차장에서 SK 자금 1백억원을 넘겨받아 당사로 옮기고 이를 김영일 당시 사무총장에게 보고했음을 밝혀냈다.

이에 따라 검찰은 金전총장을 조만간 소환해 조사한다. 金전총장에 대해선 이미 출국금지 조치를 했다.

한나라당이 1백억원을 받는 과정에 상당한 역할을 했음이 밝혀진 李씨에 대해서는 29일 중 정치자금법 위반 등을 적용해 구속영장을 청구할 분위기다.

李씨는 28일에도 1백억원의 용처에 대해 "모른다" "기억이 안난다"고 주장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민주당에는 김경재 의원이 전날 제기한 '대선 회계 이중 장부'와 관련된 자료를 제출해줄 것을 28일 요청했다. 문효남(文孝男)대검 수사기획관은 "민주당 측이 제출한 자료 등에서 대선자금 비리와 관련된 단서가 나오면 본격 수사에 착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29일에는 대선 당시 민주당 선거대책위 업무조정국장이었던 이화영씨를 소환한다. 李씨는 현재 열린우리당 창당기획팀장으로 대선 당시에는 민주당 재정을 담당했었다.

검찰은 민주당이 지난해 대선 전 SK에서 10억원의 불법자금을 받는 과정에서 李씨가 회계 처리에 관여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이상수 열린우리당 의원(대선 당시 민주당 사무총장)이 이날 밝힌 다른 기업들에서 받은 대선자금의 회계 처리도 맡았던 것으로 본다.

검찰은 李씨를 상대로 이상수 의원이 SK 측 임직원 33명 명의로 받은 10억원의 용처, 그리고 김경재 의원 등이 제기한 ▶대선자금 이중 장부 존재 ▶5개 기업에서 75억원 수수 등 관련 의혹에 대해 집중 조사할 예정이다.

검찰은 "李의원에게서 대선 당시 다른 기업들에서 받은 돈의 영수증도 제출받아 분석 중"이라고 밝혔다. 영수증이 누락돼 있거나 허위 영수증의 흔적이 발견될 경우, 또 李씨에 대한 조사 과정에서 다른 기업들에서의 불법 자금 흐름이 발견될 경우 수사는 곧바로 확대될 예정이다.

그 경우 李의원뿐 아니라 관련 기업인들, 당시 당 재정에 관여한 당직자 등에 대한 대대적 소환 조사가 불가피할 전망이다.

정대철 전 민주당 대표도 李의원이 SK에서 10억원의 불법자금을 받는 과정에서 중개인 역할을 한 것으로 전해져 소환 대상이 될 수 있다.

강주안.문병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