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리한 통화긴축 안한다/하반기정책 신축 운용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7면

◎증시침체로 총통화증가율 억제 어려워
정부는 하반기 통화정책을 당초 목표치에 너무 얽매이지 않고 신축적으로 운용해 나갈 방침이다.
이는 무엇보다도 증시가 극도로 침체,통화채인수를 통한 통화관리가 한계에 부닥치고 있기 때문이다.
21일 통화당국에 따르면 올해 총통화증가율은 당초 15∼19%를 목표치로 잡았으나 연평균 잔액기준으로 목표최고치인 19%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4ㆍ4분기에 12∼13%까지 묶어야되나 현재 증시상황으로는 이같은 목표달성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보고 있다.
앞으로 연말까지는 2조원 가까운 추경예산집행에 추곡수매자금 방출,추석과 연말의 자금성수기등이 몰려 있어 통화의 고삐를 잡기는 버거운 상황인게 사실이다.
통화당국은 총통화증가율의 목표치를 맞추기 위해 하반기에 5조원이상의 통화채를 발행해 풀려나간 돈을 다시 끌어들인다는 생각이었다.
그러나 주가가 연일 연중최저치를 경신하며 증시가 극도의 침체상태에 빠져있는 터에 강제인수를 통한 통화채소화는 현 상황으로는 한계가 있다.
가뜩이나 수요부족으로 증시가 침체되고 있는 판에 자금긴축이 강화되면 증시침체의 골은 깊어질 수밖에 없고 이는 곧바로 통화관리에 더 큰 어려움을 줄 것이 분명하기 때문이다.
통화당국은 이에 따라 연평잔기준 최고 19%의 총통화증가율 목표치를 증시상황을 보아가며 12월 평잔기준 19%이내로 보다 신축적으로 운용해 나갈 것을 검토하고 있다.
한 당국자는 『총통화증가율을 몇%로 할 것인가는 그 자체가 목적일 수는 없고 전체경제의 흐름을 원활히 해 나가는 수단』이라고 전제,현재의 상황에서는 『목표치에 집착하기보다는 인플레를 촉발시키지 않는 범위내에서 보다 융통성있게 운용해 나가는게 바람직하다』고 지적,하반기에 목표치 고수를 위한 무리한 통화긴축은 하지 않을 것임을 밝혔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