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한방] 中年의 척추관 협착증 녹용·녹각 달여 먹으면 도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05면

50대인 B씨는 요즘 한 걸음씩 내딛는 발걸음에 날개라도 단 듯하다. 그동안 1백m만 걸어도 다리가 저리고 아파 주저앉았던 기억 때문이다. 그는 어느날 허리를 펴지 못할 정도로 아프고, 엉치는 물론 다리와 발이 저려 고무다리처럼 무거웠다. 특히 밤에 누운 상태에서도 종아리가 아파 깨기 일쑤였다. 검사 결과는 디스크가 아닌 척추관 협착증이었다.

척추관은 척추신경이 지나가는 통로를 말한다. 이 척추관에 골극이라고 하는 가시 같은 뼈가 자라거나, 내부 점막이 부어 척추관이 좁아지면서 신경을 압박하는 것이 척추관 협착증이다. 허리 통증과 함께 엉치 부위나 발.다리가 저린 증상 때문에 간혹 디스크로 오인된다.

그러나 허리를 앞으로 굽히면 통증이 줄어들고 뒤로 젖히면 통증이 심해지는 특징이 디스크와 다르다. 또 디스크는 누워 있으면 통증이 줄지만 협착증은 누워있다 일어나기는 힘들어도 일단 움직이면 허리가 부드럽다.

척추관 협착증의 치료는 크게 두가지다. 골극(뼈)이 자라나는 협착증인 경우에는 뼈를 잘라내는 수술을 받아야 한다. 그러나 점막이 부은 협착증은 퇴행한 뼈를 튼튼하게 하는 한약을 복용하고, 좁아진 척추 간격을 넓혀주는 추나요법과 물리치료로 수술하지 않고 충분히 개선될 수 있다.

협착증은 물리치료와 함께 뼈의 퇴행을 막고 간장.신장의 기운을 보음(補陰)하는 약제를 쓴다. 근육과 뼈를 튼튼히 해주는 용각교탕이나 가미육미지황탕.청파전 등이 대표적이다.

추나요법은 뼈를 당겨 관절을 부드럽게 풀어주는 나법(拿法)을 중심으로 치료한다. 척추관이 넓어져 신경압박을 풀어주며,주위 조직이 활성화되면서 울혈 증세가 사라져 통증이 현저히 줄어든다.

가정에서는 뼈에 영양분을 공급해 주도록 용각교나 녹각교를 달여 먹는다. 녹각.녹용을 반씩 섞어 물과 함께 묵처럼 될 때까지 은근한 불에 푹 고아 아침.저녁으로 한 스푼씩 먹으면 도움이 된다.

신준식 자생한방병원장(www.jase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