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장관들 이재에 밝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세무서 신고는 요식행위… 거의가 주식투자/“손벌리지 않으려면 어쩔수없다”일부 시인
일본의 장관들은 청빈과는 거리가 먼것 같다.
30일 공개된 가이후(해부) 총리등 각료 21명,정무차관 24명등 모두 45명중 1억엔 이상의 자산가는 13명에 이르며 가장 많은 자산을 소유한 장관은 사카모토(판본) 관방장관으로 7억5천만엔에 이른다.
가이후총리는 토지·건물·유가증권등 약1억7백만엔으로 신고했다.
그러나 이는 세무당국에 신고된 명목액에 불과할뿐 토지·주식·골프회원권등을 시가로 환산하면 전각료의 자산평균은 15억2천8백만엔에 이르러 「부자나라」 일본의 각료들은 재테크(자산운용기술)에도 밝은 것으로 드러났다.
세계적 금싸라기땅으로 이름난 도쿄(동경) 시내에 토지를 갖고 있는 무토(무등가문) 통산장관의 경우 신고가격은 6천5백81만엔인데 비해 실세 가격은 39억7천8백만엔으로 단연 톱이고 가이후총리의자산도 11억6천만엔은 호가할 것으로 보여 숨겨진 자산가임을 부인못하게 되었다.
가족명의로 신고된 것을 합치면 사정은 또 달라진다. 아이자와(상택영지)경제기획청장관은 부인이 유명한 배우인 관계로 동경시내에서도 가장 부촌으로 이름난 세다가야(세전곡)구에 호화주택을 소유,총자산은 45억6천만엔으로 추정돼 전각료중 수위를 차지하고 있다.
장관들은 토지뿐만아니라 주식투자에도 밝은 편. 대부분 장관들이 수익성 높은 우량주를 상당량 활보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고 주식에 직접 손을 대지 않은 각료는 가이후총리를 비롯,4명에 불과하다.
와타누키(금관민보) 건설장관의 경우 10개종목 약 2백80만주를 소유,시가 평균액은 23억엔에 이르러 주식소유 랭킹 1위를 차지했다.
2위의 사토(좌등수랑)국토청장관은 우량주만 골라 부인몫과 합쳐 약31만 주 4억8천만엔어치를 갖고 있는 것으로 드러냈다.
이처럼 서민감각과는 거리가 먼 자산가임이 드러나자 이에 대한 장관들의 변명도 구구하다.
사토장관은 『정치가의 노후는 처량하다. 주위사람들에게 손을 벌리지 않기위해서도 돈에 신경을 쓸 수밖에 없다』고 솔직하게 고정을 털어놓았다.
대장성출신으로 계수에 밝은 것으로 알려진 시오자키(염지윤) 총무처장관은 『장인이 증권회사를 경영하고 있으므로 갖고 있다』고 했고 와타누키 건설장관은 일찍이 자신이 사장으로 있었던 회사주를 갖고 있을 뿐이라고 해명하고 있다.
자산공개의 대상이된 일본 각료들중 2세의원도 8명이나 돼 「상속재산」이 큰 몫을 차지하는 것도 특징이다.
『실세가격으로 본인명의 자산 장관 톱을 차지한 무토통산장관은 할아버지·아버지에 이은 3대 중의원인데 7건의 상속재산이 있어 시가 약36억엔에 이르고 있다.
이밖에도 스나다(사전) 북해도 오키나와 개발청장관등 6명이 2억엔대 이상의 상속자산을 갖고있다.
각료의 자산공개는 「정치·행정에 대한 국민의 신뢰를 확보」할 목적으로 84년 나카소네 내각때부터 시작돼 이번이 아홉번째다.
그러나 신고액과 시가액의 차이가 계속 벌어지는 추세여서 장관들의 「윤리감각결여」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동경=방인철특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