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 "악의적 소문" 차단 나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0면

검찰이 송광수(56.사진) 전 검찰총장과 관련한 '악성 루머' 차단에 나섰다. 대검찰청은 6일 오후 인터넷 홈페이지에 "송 전 총장이 편법적인 변호 활동을 하고 있다"는 내용의 일부 보도에 대해 공식적 반박문을 게시했다.

검찰은 "'송 전 총장이 변호사 선임계를 내지 않은 상태에서 법조 브로커 김홍수(58)씨 사건에 연루된 조관행(50) 전 고법 부장판사의 변호를 맡고 있다'는 내용은 사실과 다르다"고 밝혔다. 이 사건을 지휘했던 이인규 서울중앙지검 3차장은 "송 전 총장이 수사팀에 어떤 연락도 하지 않았다. 명백한 오보"라고 강조했다.

검찰의 한 관계자는 "송 전 총장에 대한 악의적인 소문이 유포되고 있는 것은 불법 대선자금 수사 등을 통해 확립된 검찰의 위상을 깎아내리려는 의도"라며 "검찰 차원에서의 대응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 다른 검찰 간부는 "누구보다 검찰 독립에 앞장섰고 신중한 행보를 해 온 송 전 총장이 악의적 평가를 받는 것은 검찰 전체로서도 받아들이기 힘든 일"이라고 말했다.

송 전 총장은 JU그룹 주수도(50) 회장의 변호인을 맡은 일로도 시달렸다고 한다. JU그룹 사건을 수사 중인 서울동부지검 관계자는 "항간에 떠도는 소문처럼 거액의 수임료 때문에 사건을 맡은 것은 아닌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그는 "주수도 회장 측이 송 전 총장을 찾아가 '경쟁 관계에 있는 미국계 회사가 우리를 공격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음해를 하고 있다. 수사가 잘못되면 국가적으로 피해가 있을 수 있다'며 수차례 부탁을 해 변호사 선임계를 내게 됐다"고 전했다. 송 전 총장은 이후 JU 사건 변호인에서 빠졌다.

송 전 총장은 7일 기자와의 통화에서 "서울고 후배인 조 전 부장판사가 사무실로 두 차례 찾아와 끈질기게 변호해 줄 것을 부탁했지만 후배(검사)들에게 부담 갈 게 뻔한 상황에서 수락할 수 없었다"며 "이 사실이 잘못 알려져 이런 일이 생긴 것 같다"고 말했다. 송 전 총장은 지난해 4월 총장 임기가 끝나자 "검찰에 부담을 주고 싶지 않다"며 서울 서초동 법조타운을 벗어나 대치동에 사무실을 차렸다.

문병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