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분당선 연장구간 마찰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2면

"1, 2단계로 나눠 공사하겠다."(건설교통부)

"일괄 착공해 개통해야 한다."(경기도)

건설교통부와 경기도가 신분당선 연장 복선전철사업의 완공 시기를 둘러싸고 마찰을 빚고 있다. 건교부가 두 번으로 나눠 2019년에 공사를 마치겠다고 방침을 정하자 경기도는 2014년까지 일괄 개통하지 않으면 사업 분담금을 내놓지 않겠다며 맞서고 있다.

3일 경기도에 따르면 경기도는 당초 신분당선 연장 구간이 2014년 한꺼번에 개통되는 것을 전제로 사업분담금 9500여억원을 내놓기로 건교부와 약속했다. 전철 통과 예정 지역인 광교신도시에서 8000억원, 호매실지구에서 1500억원의 광역개발교통부담금을 거둬 분담금으로 충당할 예정이다.

그러나 건교부는 2014년까지 정자~광교(11.90㎞) 구간을 우선 개통한 뒤 2단계 사업으로 광교~호매실(11.14㎞) 구간을 2014년 착공해 2019년 완공하기로 7월 말 계획을 확정했다. 이와 함께 건설비가 당초 예상한 2조5000억원보다 3000억원 늘어날 것에 대비해 경기도에 2000억원을 추가로 부담할 것을 요구했다.

이에 대해 최승대 경기도 건설교통국장은 "두 번에 걸쳐 공사를 하게 되면 광교와 호매실 지구에서 계획대로 사업분담금을 마련하기 어렵다"며 "건교부 계획대로 할 경우 분담금을 내지 않거나 절반으로 줄일 방침"이라고 밝혔다.

수원지역 열린우리당 심재덕.이기우 국회의원도 "단계별로 공사를 추진할 경우 2단계 공사의 재원 마련이 불투명한 데다 2014년 이후에는 예산이 증가하게 돼 사업비 확보가 어렵다"며 "건교부는 단계별 사업추진 계획을 철회하고 전 구간을 동시에 완공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차량기지를 학교와 맞닿은 곳에 설치하려는 계획에 대해 경기대가 반발하고 있다. 경기대는 최근 학생과 교수, 직원노조 등으로 '광교 전철차량기지 대책위원회'를 구성하고 건교부 항의 방문에 나섰다. 대책위원회는 "분진.소음.전자파 등을 유발하는 전철 차량기지가 들어서면 교육환경이 침해될 뿐 아니라 수원 시민의 휴식처인 광교산 경관도 심각하게 훼손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수원=정영진 기자

◆ 신분당선 연장 노선=2010년 7월 개통 예정인 신분당선(강남~정자) 복선전철의 연장 사업으로 신분당선 정자역에서 용인 수지, 수원 광교지구를 거쳐 호매실에 이르는 23.04㎞(지하 20.6㎞, 지상 2.44㎞) 구간이다. 역 10개가 들어서고 수원시 영통구 이의동 광교신도시 내에 차량기지가 건설될 예정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