뭐가 뭔지 “어리벙벙”/「3당합당」 각계 반응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5면

◎“정치판이 어떻게 돌아가나” 궁금/“이기회에 정국 안정” 기대/“또 다른 혼란 초래” 우려도
그동안 베일속에 가려져 있던 정계개편의 구도가 22일 민정ㆍ민주ㆍ공화당의 통합신당으로 갑작스럽게 모습을 드러내자 국민들은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며 기대와 우려가 엇갈리는 반응을 나타냈다.
국민들은 이번 정계개편이 현재와 같은 여소야대의 불안정한 정국운영을 탈피하고 정치 및 경제안정의 계기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불가피성을 인정하면서도 하루아침에 야당이 여당으로 탈바꿈하는 정치풍토에 대해 어리둥절해 했다.
◇유세희교수(한양대 정치학)=지역당 중심의 4당체제가 정치적 불안정을 낳았으므로 정계개편의 필요성이 있었던 만큼 3당의 통합은 일견 긍정적이나 정치안정과 발전을 이룬다는 대국적 견지보다 야권의 두김씨가 민정당측과 자신들의 개인적 이해관계에 치중해 정계개편을 성급히 추진하고 있다는 인상을 지울수 없다.
아울러 평민당을 지역당으로 고립시켜 지역감정을 심화시킬 우려도 있다.
만약 3당통합이 계획대로 이루어진다면 여야간의 통합이 과연 일본 자민당식으로 파벌간의 균형과 협조가 잘될 수 있을지 숙제로 남는다.
◇이광우교수(59ㆍ전남대 정치학)=각본에 따라 이루어진 정권연장ㆍ영구집권의 음모이며 지역감정 심화와 양심세력의 과격한 장외저항으로 오히려 정치불안이 가중될 것이다. 현재도 지도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는 노태우대통령과 김영삼씨가 그러한 난국을 타개하리라고 기대할 수 없다.
◇김상철변호사=정치권의 혁명이 시작되었다고 본다. 내외정세의 격동과 통일이라는 세기적 과업앞에서 국내정치의 정비와 재편성은 피할 수 없는 현안과제였다.
정계의 재편성은 정치인들의 것이라 할 수있으나 대통령중심제냐,내각책임제냐의 문제는 헌법제정 권력자인 국민적 의사에 따라야 하는만큼 내각제개헌이 자칫 권력의 기술적 배분을 위한 정략적 고려에 의한 것이어서는 안된다.
또 특정지역의 애착이나 배제의 감정에서 떠나 정견과 정책에 의한 정치가 되어야 한다.
90년대의 정치가 기득권력의 온존을 용납치 않고 오히려 희생적 결단을 요구할 것이란 점에서 이를 계기로 정치권이 진정 역사적 사명감에 충만한 새 사람들로 다시 태어나기를 바란다.
◇김희택씨(전민련대변인)=신당 창당은 국민을 정치의 들러리로 만들고 정당정치와 국민주권을 근본적으로 부정하는 무혈쿠데타다. 이번 정계개편의 본질은 미국의 사주에 의한 친미ㆍ파쇼 대연합으로 국민들의 엄중한 저항을 피할 수 없을 것이다.
특히 그동안 국민들과 함께 민주화운동에 동참해 왔던 김영삼 민주당총재가 개인의 정권욕으로 국민의 여망을 저버리고 보수연합의 들러리가 된 것에 대해 충격과 분노를 금할 수 없다.
◇이명재군(24ㆍ고대 정외4)=이번 정계개편은 국민들의 정치의식이 높아감에 따라 집권가능성이 희박해진 사이비 야당정치인들이 국민의 뜻을 저버리고 노골적으로 여당과 야합하게된 것이다.
그동안 김영삼씨 등의 집권욕을 민주화투쟁으로 잘못 믿고 따라온 국민들이 불쌍할 뿐이다.
◇박영진씨(35ㆍ주부ㆍ서울시 개포동)=이번 결정은 3당소속 의원들의 사전합의나 통보조차 없이 이루어진 것이라 국민들에게는 3당 총재의 또 다른 독단으로 비쳐져 국민의 공감을 얻기에는 시일이 걸리리라 생각한다.
어쨌든 이번 조치로 사회와 경제안정이 이뤄졌으면 하는 바람이며 이를 위해서는 학생ㆍ노동자 등의 계층을 납득시킬수 있는 정책적인 대안이 빨리 나와야 할 것이다.
◇조창선씨(43ㆍ광주시 충장로ㆍ자유양복점대표)=정국안정을 바라는 판국에 찬물을 끼얹는 행위며 호남사람들의 감정을 자극하는 행위다. 더구나 평민당의 일부까지 끌어들이겠다는 것은 야당을 말살하려는 것이다.
◇김길수씨(34ㆍ회사원ㆍ부산시 명지동 257)=현재의 4당구도가 그대로 계속될 경우 93년의 총선에서도 지역당의 모습을 탈피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전국 여러계층이 골고루 지지하는 정당의 출현은 환영한다. 그러나 평민당의 반발이 사회 혼란을 야기하지 않을지 모르겠다.
◇임규영씨(45ㆍ상업ㆍ대구시 성당동 726)=충격적이다. 그러나 경제안정ㆍ정치발전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조치다. 이제는 4당체제의 불안에서 헤어나 안심하고 생업에 종사할 수 있게 됐다.
이를 계기로 농성ㆍ시위 등 불필요한 집단행동도 사라져야 할 것이다.
◇이종완씨(56ㆍ대전 상공회의소의장)=정치의 안정,성숙한 정치를 위해 당연한 일이며 국가발전 보다 당리당략에만 치우쳤던 4당체제의 해소는 분명히 정치안정ㆍ경제발전을 가져다 줄 것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