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정 민주 공화 합당선언/내각제 전제로 신당 창당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집단 체도체제 합의… 구성방안 절충/개각때 3당 참여,4월께 전당대회/1노2김 청와대서 전격 회담
민정ㆍ민주ㆍ공화 보수3당이 22일 합당에 합의,우리 헌정사상 초유의 합법적인 정계대개편이 이뤄졌다.
노태우 대통령과 김영삼 민주당 총재,김종필 공화당 총재는 이날 오전 청와대에서 3자회담을 갖고 보수3당이 주축이 되어 중도민주세력을 총집결시키는 대연합을 이루기로 하는 합당선언문을 공동발표하고 이에 따른 합당절차와 당직배분문제를 구체적으로 협의했다.<관계기사2,3,4,5,15면>
1노2김은 또 앞으로 내각책임제 개헌을 노대통령 임기중에 실현키로 의견을 모았다.
3당이 합당할 경우 탈락자가 없으면 민정 1백27석,민주 59석,공화 35석,모두 2백21석으로 개헌선인 3분의2(1백98석)를 훨씬 넘게 된다.
이로써 정계는 보수 거대신당과 평민당등 군소야당으로 나눠지게 됐으며 이 합당결과는 야당측의 반발등을 낳아 정국에 여러가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이날 1노2김은 90년대의 새로운 시대를 맞아 국가의 안정과 경제발전등을 위해서는 종래의 4당질서에서 벗어나 정치의 대변혁을 이뤄야 한다는 데 의견을 모으고 앞으로 통일등에 대비해 민족ㆍ민주세력의 통합을 통한 새로운 역사를 창조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날 청와대회담에서는 3당합당 실무자들이 합의한 합당절차를 근거로 당명ㆍ당직체제ㆍ내각배분 등을 협의했는데 1노2김을 포함하는 집단지도체제방식에는 의견을 같이했으나 집단지도체제의 구성등에는 서로 다른 방안을 제시,오랜시간 의견 절충작업을 벌여 회의가 길어졌다.
회의에서는 대체로 당명은 민주주의와 자유민주체제의 근간을 내포할 수 있는 명칭으로 하기로 하고 당의 이념은 ▲민주주의와 자본주의체제를 수호하고 ▲민족문화전통을 계승하며 ▲통일을 최대의 과제로 삼기로 했다.
이에 따라 당명으로는 민주자유당ㆍ자유민주당ㆍ자유민주연합 등이 거론되고 있다.
이날 1노2김 회의에서는 당 체제문제를 두고 노대통령은 1노2김 등을 포함해 5인 최고위원을 두고 노대통령이 대표최고위원이 되는 집단지도체제를 제안했으나,김영삼 총재는 1노2김의 3인 최고위원이 당을 운영해 나가는 방안을 내놨으며,김종필 총재는 총재아래 5인 대표위원을 두고 총재는 노대통령이,5인 최고위원중 대표위원은 김영삼 총재가 맡는 방안을 제시,논란을 벌였다.
1노2김은 각당 5명씩 15인의 합당준비위를 두어 23일부터 합당에 따른 정강ㆍ정책 등 창당절차를 협의키로 했다.
3당은 신설합당의 형식으로 합당하게 되며 이 경우 3당의 대의기구(전당대회) 또는 그 수임기관의 합당결의에 따라 등록을 마치면 합당이 완료되는데 3당은 대체로 2월말께 합당을 결의,창당작업을 완료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보수신당은 2월25일께 정식출범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민주ㆍ공화당은 합당결의후 대체로 6개월내에 창당전당대회를 열어 당체제를 완비한다는 계획이나,민정당측은 2개월내 창당대회까지 완료하기로 계획을 세우고 있어 빠르면 4월께 통합보수신당의 창당 전당대회가 열릴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 이날 회의에서는 통합에 따른 내각개편과 당직개편등에 관한 의견도 제시됐으나 각당의 지분배분에 대한 이해가 엇갈려 상당한 진통이 있은 것으로 알려졌다.
보수신당이 정식출밤하게 되면 민주ㆍ공화 출신이 입각하게 될 것으로 보이며 국회직도 보수신당이 전부 차지하게 돼 각당간의 배분문제등도 논의됐다.
민주당측은 김영삼 총재가 내각수반을 맡아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어 주목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