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측 기독교대표단 과연 올 수 있을까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9면

오는 2월27일부터 서울에서 열리는 한국기독교교회 협의회 (NCC) 총회에 북한기독교 대표들이 참석하게 될 것인가.
남북한 종교단체대표들이 국외가 아닌 국내에서 최초로 공식적으로 만나 종교 교류와 통일노력에 대해 논의하는 자리가 될 것이기에 기대 어린 눈길들이 모아지고 있다.
NCC는 지난15일 기자회견을 갖고「조선기독교연맹의 강영섭 위원장과 리 철 부위원장은 동 연맹의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총회참석문제를 현재 진지하게 검토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최종 적인 결정은 이 달말(30일)에 열리는 동 연맹의 총회에서 이루어질 것」이라는 통보를WCC(세계교회협의회)를 통해 간접적으로 전달받았다고 밝혔다.
NCC는 지난해 9월 동경에서 북한 기독교대표자들과 만나 NCC 2월 총회에 북한 대표들이 참석한다는 합의를 이루어내고 이의 성사를 위한 상호접촉을 WCC를 통해 계속하기로 결정했었다. NCC가 지난 15일 조선기독교연맹 측의 결정을 발표한 것은 WCC의 위임을 받은 미국NCC 관계자가 지난 9일부터 14일까지 북한을 방문하고 WCC에 보고한 내용을 토대로 한 것이다.
북한기독교인들의 NCC총회참석은 현재로서는 많은 난관을 가진 것으로 보인다.
WCC관계자가 NCC에 전한 내용에 따르면 조선기독교연맹 대표들은『현재 남북한 민간 차원의 교류를 위한 여건이 만족할 만큼 성숙되어 있다고 보지는 않으나 남북한간의 교류와 접촉의 가능성에 대하여 원칙적으로 개방적인 자세를 가지고 있다』고 NCC총회에 임하는 그들의 자세를 밝혔다는 것이다.
WCC관계자는 그들이 팀스피리트문제·문익환 목사문제 등을 거론했다고 전했다. WCC관계자들은 그러나『그 같은 문제들을 NCC총회 참석의 전제조건으로 하지는 않겠다』는 뜻도 북한대표들이 완곡하게 내비쳤다고 전했다.
남북한 당국의 자세도 중요하다.
NCC는 15일 우리정부가 이번 초청의 성사를 위해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실무차원의 문제에 대해 적극적으로 협력해줄 것을 촉구했다.
북한대표들을 참석시키기 위해서는 정부당국이 이미 내준 북한주민 접촉승인에 이어 초청승인·입국승인을 빨리 해주어야한다.
또 안전경호·입국사증·입국경로·체제비용 등의 문제에서도 적극적인 대처를 해야한다.
지금으로서는 이 모든 문제를 1월30일 조선기독교연맹총회 전에, 더 늦게는 2월27일 NCC총회 전에 완결하기엔 시간이 촉박하다.
NCC는 이날 기자회견에서『현행 남북교류 협력에 관한 지침에 입각한 세부절차가 많은 경우 비현실적이고 제한적이어서 남북한간의 진정한 교류와 접촉에 일정한 장애가 되고 있다』고 지적하면서 정부의 적극적인 자세를 바랐다.
NCC측은 실무적인 문제가 85년의 이산가족 만남과 예술단교환의 선례에 따라 처리되는 것이 빠른 결정에 이를 수 있는 길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NCC는 입국경로를 판문점으로 희망하고 있다.
북한당국의 자세는 조선기독교연맹이 정치적인 전제를 제시하느냐, 않느냐는 것과 관련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임재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