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내장, '수정체 혼탁'이 원인…수술로 시력 회복

중앙일보

입력

중년이 되면 갑자기 시력이 나빠지는 경우가 있다. 앞이 뿌옇게 보이고 물체가 2~3개로 보이기도 하며 어두운 곳에서는 잘 보이다가도 밝은 곳에 나가면 갑자기 잘 보이지 않기도 한다. 이는 대표적인 백내장 증세로 백내장은 실명을 일으키는 가장 흔한 질환이다.

백내장이란 눈에 있는 수정체가 혼탁해진 상태를 말한다. 발병 초기에는 시력이 떨어질 뿐 별다른 합병증이 생기지 않지만 오래 방치하면 포도막염, 녹내장, 수정체탈구 등이 생겨 시력을 잃을 수 있다.

백내장의 원인은 노화, 외상, 당뇨병, 스테로이드계 약물복용, 눈 속 염증, 안질환 등이다. 이 중 성인 백내장은 노화에 의한 것이 가장 많다. 60~65세는 50%, 80세 이상에서는 거의 100% 백내장 증세가 나타난다.

시력 저하는 혼탁이 생긴 위치나 경중에 따라 정도가 다르며 특히 혼탁이 애기동자 부위에 있으면 작은 혼탁에도 심한 시력장애를 초래한다.

하지만 최근엔 시력을 회복할 수 있는 방법들이 많기 때문에 백내장을 무서워할 필요는 없다.

#어떻게 치료하나

백내장은 약물요법과 수술로 치료한다. 초기에 처방하는 약물은 혼탁 진행속도를 늦추는 효과가 있다. 하지만 객관적인 효과 검증이 부족하고 약물을 사용해도 혼탁 진행을 완벽하게 막을 수 없다. 따라서 완치를 위해서는 수술이 좋다.

수술은 비용, 합병증 등을 고려해 일반적으로 시력이 0.5 이하이고 일상생활에 불편을 느낄 때 시행한다. 수술 여부를 결정할 때는 시력, 증상, 직업 등 활동 정도와 진행 정도, 수술 후 시력회복 가능성 등을 복합적으로 고려하며 시력이 0.3 이하면 수술하는 것이 좋다. 동공이 희게 될 때까지 수술하지 않으면 염증이나 녹내장이 생길 수 있고 수술하기가 더 어려워 진다.

수술은 수정체 껍질에 구멍을 내 혼탁한 수정체 내용물을 제거하고 남은 수정체 껍질 속에 인공수정체를 끼워 넣는 후방인공수정체삽입술을 많이 시행한다. 특히 초음파를 이용하면 3~4㎜ 정도만 절개해 백내장을 제거하고 인공수정체를 삽입할 수 있다.

백내장 수술 때 수정체를 제거하면 대부분 심한 원시상태(+10 디옵터 정도)가 되기 때문에 초점이 맞지 않아 수정체 굴절력을 대신할 수 있는 다른 수단이 필요하다. 인공수정체, 안경 혹은 콘택트렌즈가 이런 기능을 하며 이 중 인공수정체가 가장 이상적이다. 하지만 인공수정체는 조절기능이 없어 먼 곳이 잘 보이는 도수의 인공수정체를 삽입했을 때 나이와 상관없이 가까운 물체를 보기 위해서는 돋보기를 이용해야 한다.

백내장 수술 후 다시 생긴 백내장에 한해 레이저 치료를 하기도 한다. 입원할 필요가 없으며 간혹 치료 후 안압 상승, 망막 손상 등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의사 지시에 따라야 한다.

■ 도움말 = 밝은빛성모안과(www.lasiklens.org) 김용명 원장(02-3783-4800)

조인스닷컴(joins.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