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화재배 AI와 함께하는 바둑 해설] 다가서는 방향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7면

〈4강전〉 ○·신진서 9단 ●·셰얼하오 9단

장면 3

장면 3

장면 ③=흑1로 뚫어 5까지 일단락됐다. 상상력과 기세의 충돌이 만들어낸 상전벽해의 대변화다. 그러나 바둑은 계속 이 질문을 던져야 한다. “누가 잘된 것일까.” 박영훈 9단의 답은 이렇다. “인간의 눈엔 5대5. 백 모양도 좋지만 흑의 실리도 굉장하다. 그러나 AI는 백이 약간 잘됐다고 한다.”

백6은 갈등의 한 수.  모양을 키우면서 모양을 지우는 천하의 요소임엔 분명하지만 좌변도 참으로 큰 곳이다(AI는 오히려 좌변 쪽에 점수를 더 준다). 결국 좌변은 흑이 차지하게 됐는데 여기서 백의 다음 수는 A와 B 중 어디일까.

참고도

참고도

◆참고도=일단 다가서는 방향은 백1 쪽이 정답이었다. 흑2 근거를 잡을 때 3,5로 하변을 키워가는 그림, 이것이 인간 고수들의 참고도다. AI도 백1에는 동의한다. 그러나 흑의 다음 수는 2가 아니라 A다. 한줄이라도 하변을 더 지우라고 한다.

실전진행

실전진행

◆실전진행=신진서 9단은 백1 쪽에서 다가갔다. AI 그래프는 살짝 내려간다. 3~7까지 하변 모양을 지키는 것은 비슷하지만 흑2가 오면 백도 은근히 쫓긴다. 그것이 전국에 영향을 준다고 보는 것이다.

박치문 바둑 칼럼니스트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