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이 유행국 격리면제 우려에 당국 "백신 효과 검증따라 별도 대책 논의"

중앙일보

입력

내달부터 델타(인도발) 변이 유행국서 입국하는 접종 완료자도 2주간의 격리를 면제키로 하면서 변이 유입 우려가 커진 데 대해 보건당국이 관련 자료를 확인하고 있다며, 필요시 추가 대책을 마련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15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브리핑에서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인도 변이에 대한 연구가 아직 충분하지 않다”며 “현재 쓰고 있는 예방접종 백신들에 저항력이 큰지 아닌지 검증이 불명료해 데이터를 계속 확인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인천국제공항 제1터미널에서 해외 입국자들이 입국장을 나서고 있다. 연합뉴스

인천국제공항 제1터미널에서 해외 입국자들이 입국장을 나서고 있다. 연합뉴스

손 반장은 “우리나라만의 문제가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변이에 대한) 백신 효과성 검증이 함께 이뤄지고 있다”며 “이를 확인하면서 인도 변이를 위험한 바이러스로 분류하고 별도 대책을 강구할지 아닐지 결정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손 반장은 또 격리를 면제하더라도 입국자에 대해 입국 전후로 3차례의 유전자증폭(PCR) 검사를 하고 있는 만큼 돌파 감염에 대한 대책도 함께 가동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영국 변이에 대해선 “우리가 쓰고 있는 백신의 예방력이 다른 통상적 코로나19 바이러스와 큰 차이 없다고 보는 중”이라며 “굳이 영국 변이를 위험하게 관리할 이유가 없다는 게 전문가와 질병관리청의 검토 결과”라고 설명했다.

앞서 당국은 해외에서 접종을 완료한 이들 대상으로 내달부터 심사를 거쳐 2주간의 격리를 면제키로 했다. 남아프리카공화국, 브라질 변이 유행국 등 13곳을 위험국으로 지정해 이곳서 오는 입국자들은 예외키로했지만 인도, 영국발 변이 유행국을 면제 대상에 포함해 논란이 일었다. 전문가들은 1차 접종만으로는 델타 변이에 보호 효과가 크지 않다는 영국 연구 등을 근거로 들어 섣부른 완화 조처라고 우려했다. 15일 0시 기준 누적 1차 접종자는 1256만5269명으로 국민의 24.5%다. 2차 접종자는 326만2733명으로 인구 대비 6.4%다.

황수연 기자 ppangshu@joongs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