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로 식어버린 성장엔진, 작년 기업 매출 ‘역대 최악’…3곳 중 1곳은 이자도 못낸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난해 국내 기업들의 매출이 2년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하며 역대 최저치를 갈아치웠다.사진은 지난달 국내 한 제조업 업체의 공장 모습. 연합뉴스

지난해 국내 기업들의 매출이 2년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하며 역대 최저치를 갈아치웠다.사진은 지난달 국내 한 제조업 업체의 공장 모습. 연합뉴스

지난해 국내 기업들의 매출이 2년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하며 역대 최저치를 갈아치웠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 기업의 성장이 더뎌지며 영업이익으로 이자도 내지 못하는 기업들도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한국은행은 3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0년 기업경영분석(속보)’을 발표했다. 외부 감사대상 비금융 영리법인기업 2만5871개 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지난해 성적표다.

기업의 성장세는 날이 갈수록 둔화했다. 지난해 조사 대상 기업들의 매출액증가율은 -3.2%로 2019년(-1.0%)보다 크게 하락했다. 1년간 기업을 운영했지만 오히려 매출 규모가 줄었단 얘기다. 2019년에 이어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매출액 증가율은 2017년 9.9%를 기록한 뒤 2018년 4.2%로 반토막 난 뒤 2년 연속 마이너스를 나타냈다.

기업 경영 주요 지표.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기업 경영 주요 지표.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특히 대기업의 역성장이 두드러졌다. 대기업의 매출액증가율은 2019년 -1.5%에서 지난해 -4.3%로 낮아지면서 같은 기간 중소기업(1.5%→0.8%)보다 크게 하락했다. 역대 최대 하락폭이다. 재무비율 상위 25%에 해당하는 1분위 기업의 지난해 매출액증가율은 -17.6%로 2019년(-12%)의 역대 최저치를 갈아치웠다.

업종별로는 제조업이 2019년 -2.3%에서 지난해 -3.6%로 마이너스 폭이 확대됐다. 반도체 호조세에 힘입은 전자·영상·통신장비(-8.4%→7.5%)의 매출액 증가율이 크게 반등했지만, 국제유가 하락으로 석유정제·코크스(-6.8%→-34.3%), 화학물질·제품(-6.8%→-10.2%)의 매출이 큰 폭 하락했다. 비제조업도 같은 기간 0.8%에서 -2.6%로 마이너스 전환됐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대기업 비중이 큰 석유정제 화학기업이 지난해 국제유가 하락의 영향으로 매출액이 크게 감소했다”며 “코로나19 확산으로 영업이 어려워진 비제조업의 매출액 하락도 두드러진 부분”이라고 말했다.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조차 감당할 수 없는 기업도 사상 최고치를 갱신했다. 뉴스1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조차 감당할 수 없는 기업도 사상 최고치를 갱신했다. 뉴스1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조차 감당할 수 없는 기업도 사상 최고치를 갱신했다. 영업이익 대비 금융비용(이자) 부담을 나타나는 지표인 이자보상비율이 100% 미만인 기업의 비율은 2019년 31%에서 지난해 34.5%로 상승했다. 같은 기간 이자보상비율이 500%이 넘는 기업의 비율도 40.9%에서 41.1%로 확대됐다. 양극화가 커졌다는 얘기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이른바 ‘K자형 성장’ 등으로 인한 양극화가 나타난 것”이라며 “코로나19 확산 영향으로 석유정제나 기타운송에서 적자 기업이 늘면서 이자보상비율 100% 미만 기업이 증가한 반면, 전자·영상·통신장비 등 일부 흑자기업의 이익률은 좋아지며 이자보상비율 500% 이상의 기업도 동반 확대됐다”고 설명했다.

매출 감소에도 수익성은 전반적으로 다소 개선됐다. 지난해 영업이익률은 5.1%를 기록해 2019년(4.8%)보다 좋아졌다. 제조업(4.7%→4.9%)의 영업이익률 개선은 반도체 호황에 힘입은 전자·영상·통신장비(6.1%→9.0%)이 견인했다. 비제조업(4.9→5.3%)도 국제유가 하락으로 연료비가 감소한 전기·가스업(0.6%→5.6%)의 수익성이 소폭 개선됐다.

기업의 안정성을 나타내는 지표도 다소 좋아졌다. 지난해 기업 부채비율은 97.4%로 2019년(97.6%)보다 낮아져 안정성이 소폭 개선됐다. 전자·영상·통신장비(34.5%→37%)의 부채 비율이 신규 투자의 영향으로 높아지는 등 제조업 부채비율(63.8%→65.5%)이 늘었지만, 비제조업(150.5%→146%)의 부채 비율이 낮아진 영향이 컸다.

윤상언 기자 youn.sangu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