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정상회담 앞두고 백신 공급 묻자 "코로나와 싸우는 韓지원"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젠 사키 미국 백악관 대변인이 20일(현지시간) 정례브리핑에서 "코로나19와 싸우고 있는 한국을 지원하는 방안 등 여러 이슈를 한미 정상회담에서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EPA=연합뉴스]

젠 사키 미국 백악관 대변인이 20일(현지시간) 정례브리핑에서 "코로나19와 싸우고 있는 한국을 지원하는 방안 등 여러 이슈를 한미 정상회담에서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EPA=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한미 정상회담을 하루 앞두고 백악관이 한국과 백신 협력을 논의할 것임을 알렸다.
또 미국이 다른 나라에 풀기로 한 코로나19 백신을 어떻게 나눌지 기준을 밝히면서, 지금 그 평가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20일(현지시간) 백악관 대변인 정례브리핑에선 이번 한미 정상회담에서 백신 공급 문제가 논의될 것인지 질문이 나왔다.
젠 사키 대변인은 "한국 대통령이 미국의 백신 공급을 활용하고자 하는 것에 관해 묻는 질문이냐"고 확인한 뒤, "두 정상이 코로나19와 싸우고 있는 한국을 지원하는 방안에 대해 논의할 것이며 분명히 여러 이슈에 대해 다룰 것"이라고 답했다. "전 세계 팬데믹과 싸우기 위해 양국이 공조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논의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바이든 대통령이 화이자·모더나·존슨앤드존슨 백신 2000만 회분을 포함, 총 8000만 회분의 코로나19 백신을 다른 나라에 풀기로 한 것도 언급했다. 하지만 그는 미국 정부가 공급 대상을 정할 때 염두에 두고 있는 조건을 소개했다.
^어떻게 해야 공평하게 나눌지 ^어떻게 해야 가장 도움이 필요한 곳에 갈 수 있을지 ^어떻게 해야 지역 균형을 맞추며 공정한 방식으로 할 수 있을지 등이다.
또 이에 따라 결정을 하는 중이고 "그 평가가 내일 이전에 이뤄질 것 같지는 않다"고 덧붙였다. 정상회담이 있는 21일 이후로 결정이 미뤄질 수도 있다는 이야기다.
한편 이번 정상회담에서 인도·태평양 4개국 협의체 '쿼드'(Quad)에 한국을 정식 구성원으로 포함하는 것이 논의되겠느냐는 이야기도 나왔다.
사키 대변인은 이미 한·미·일 3자 협력을 비롯해 그 밖의 한·미가 함께 참여하고 있는 다양한 국제기구가 존재하고 있음을 강조하면서 "쿼드의 구성원을 바꾸는 것에 대해선 예상할 만한 것이 없다"고 답했다.
다만 사키 대변인은 "쿼드에 4개국의 멤버가 있지만, 너무 수학적이 될 필요는 없다"며 앞서 커트 캠벨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인도 태평양 조정관의 발언과는 조금 다른 결의 의견을 내기도 했다.
지난 18일 캠벨 조정관은 한 언론 인터뷰에서 (숫자 '4'를 뜻하는) 쿼드가 가입국을 늘린다면 "이름을 바꿔야 할 것"이라며 현재로썬 확대 계획이 없다는 의사를 밝힌 바 있다.
이번 한미 정상회담에서 기후변화·경제협력·중국 등 여러 논의가 이뤄질 것이라면서도 중심 의제로는 북한을 꼽았다. 그러나 바이든 대통령이 김정은 국무위원장을 직접 만나는 것도 논의되겠느냐는 질문에는 "가장 중요한 의제가 되지 않을 것"이라며 선을 그었다.
워싱턴=김필규 특파원 phil9@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