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악관 '반도체 대란' 대응회의…삼성전자 등 업계 소집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반도체 칩 공급 부족으로 세계 경제가 휘청이는 가운데,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국가안보 및 경제 보좌관들이 오는 12일 글로벌 반도체·자동차 업체 리더들과 만난다. 이 자리에서 반도체 칩 품귀 현상에 대한 대응 방안을 논의한다.

제이크 설리반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AP통신]

제이크 설리반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AP통신]

블룸버그통신은 1일(현지시간) 익명의 소식통들을 인용해 제이크 설리번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과 브라이언 디스 국제경제위원회(NEC) 위원장 등이 반도체와 자동차 업계 경영진과 회동을 갖고 반도체 수급 문제를 집중 논의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국가안보 및 경제 보좌관 주재로 #자동차·IT·의료장비 업체 리더 면담 #반도체 칩 품귀 따른 대책 논의

한 소식통은 “이날 회의에 초청된 기업은 자동차와 반도체 제조업체는 물론 정보기술(IT)·의료기기업체들까지 포함됐다"고 전했다. 제너럴모터스(GM)와 글로벌파운드리 등과 함께 미국 텍사스주에 반도체공장을 운영하는 삼성전자도 함께 초청받았다고 소식통은 전했다.

백악관은 의회 및 동맹국들과도 반도체 칩 문제에 대해 협의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최근 반도체 칩 부족 현상이 지속하면서 세계 경제에 비상이 걸렸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대유행하면서 원격 수업과 재택근무, 이커머스 등이 급성장했고, 노트북·홈네트워크장비·가전제품 수요가 급격히 늘면서 반도체 칩 부족이 심화했다. 지난해 하반기부터는 자동차 판매량이 급증해 차량용 반도체 수요까지 더해져 반도체 대란으로 이어졌다. 반도체 부족으로 GM·도요타 등 글로벌 자동차 업체는 물론, 애플·월풀도 생산량을 줄이거나 심각한 차질을 빚고 있다는 게 업계의 설명이다.

삼성전자가 미국 텍사스주에 운영 중인 삼성 오스틴 반도체공장. 고용 인력은 3000여 명이며, 지난해 상반기에 2조1400억원대 매출을 기록했다. [사진 삼성전자]

삼성전자가 미국 텍사스주에 운영 중인 삼성 오스틴 반도체공장. 고용 인력은 3000여 명이며, 지난해 상반기에 2조1400억원대 매출을 기록했다. [사진 삼성전자]

이에 바이든 정부는 자국내 반도체 생산 확대를 위해 인센티브를 검토하고 공급망 취약성에 대해 검토 중이다. 세계 1위 반도체 업체인 인텔은 지난달 200억 달러(약 22조5500억원)를 투자해 미국 애리조나주에 두 개의 제조공장을 짓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세계 1·2위 반도체 파운드리 업체인 TSMC(대만)와 삼성전자도 미국에 더 많은 생산설비를 갖추기로 했다.

관련기사

박형수 기자 hspark97@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