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일, 4월 하순 미국서 외교장관 회담 개최 협의 중"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정의용 외교부 장관(오른쪽)과 토니 블링컨 미국무장관이 17일 오후 서울 도렴동 외교부에서 회담 전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뉴스1]

정의용 외교부 장관(오른쪽)과 토니 블링컨 미국무장관이 17일 오후 서울 도렴동 외교부에서 회담 전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뉴스1]

한국과 미국, 일본 3국이 다음달 하순 미국에서 외교장관 회의를 여는 방안을 협의중이라는 보도가 나왔다.

일본 교도통신은 28일 외교부 관계자를 인용해 한·미·일 3국이 정의용 외교장관,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 모테기 도시미쓰(茂木敏充) 일본 외무상이 참석하는 회의를 준비 중이라고 전했다. 계획대로 성사되면 조 바이든 행정부 출범 후 첫 한·미·일 외교장관 회담이다.

27일 모테기 도시미쓰 일본 외무상과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 간의 첫 전화회담 관련 소식을 보도하는 일본 NHK방송화면. [연합뉴스]

27일 모테기 도시미쓰 일본 외무상과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 간의 첫 전화회담 관련 소식을 보도하는 일본 NHK방송화면. [연합뉴스]

3국의 외교장관 회담 협의는 1년 만에 재개된 북한의 단거리 탄도미사일 도발 직후 나온 것으로, 이번 회의의 주요 의제는 북한과 중국에 대한 정책이 될 것으로 보인다.

교도통신은 미국이 이번 회의에서 한일 양국의 관계 개선을 촉구하고, 북한 문제에 협력해 온 3국 간 틀을 중국 견제에 활용하려는 목적이 있다고 분석했다. 다만 한·미·일이 대중(對中) 정책에서 입장차를 보이고 있어 얼마나 의견 일치를 이룰지가 관심사라고 전했다.

역사문제를 둘러싼 한일 간 갈등도 회담 개최의 걸림돌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특히 위안부 피해자들이 일본 정부를 상대로 제기한 두 번째 소송의 판결이 다음 달 21일로 예정돼있다며 재판 결과가 한일 외교장관 회담 실현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예상했다.

그러면서 "블링컨 장관은 버락 오바마 행정부 시절 국무부 부장관으로 한일 위안부 합의에 깊이 관여한 것으로 전해진다"며 "아시아 동맹국의 협력을 이끌 적임자로 평가받고 있다"고 전했다.

이민정 기자 lee.minjung2@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