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5세 이상 접종 동의률 77%···방대본 "2월보다 하락, 불안 반영"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속에 백신 예방 접종이 진행중인 10일 대전 유성구보건소에서 의료진이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을 접종하기 위해 전용 주사기로 신중히 옮기고 있다. 중앙포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속에 백신 예방 접종이 진행중인 10일 대전 유성구보건소에서 의료진이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을 접종하기 위해 전용 주사기로 신중히 옮기고 있다. 중앙포토

요양병원·요양원내 만 65세 이상을 대상으로 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접종이 하루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방역 당국이 이들 백신 접종 대상자의 동의율이 77%라고 밝혔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는 22일 정례 브리핑에서 65세 이상 연령의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 사용 결정에 따라 코로나19 예방접종 관리시스템을 통해 접종대상자의 등록과 동의 절차를 진행한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는 요양병원·요양시설 등 5661곳의 입원·입소자, 종사자 37만5061명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그 결과 28만8365명이 예방접종에 동의했다. 동의율 76.9%를 기록했다. 요양병원의 동의율은 75.2%, 나머지 요양시설 등의 동의율은 이보다 조금 높은 78.7%였다.

이는 지난 2월 코로나19 백신 첫 접종을 앞두고 실시한 동의율 조사 결과보다 떨어진 수치다. 당시 방대본이 요양병원 1657곳, 노인요양시설 등 4156개소의 입원 ·입소자와 종사자를 대상으로 접종 동의율을 물었을 때는 93.7%가 동의했다.'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장은 22일 정례 브리핑에서 동의율 하락 관련, “65세 이상 대상자의 접종 동의율이 지난 2월 1차로 했던 94~95%보다는 낮아졌다. 국민의 불안한 마음이 반영됐다고 생각한다”며 “입원환자나 입소자의 경우 기저질환이나 건강상태, 연령 등이 반영된 것으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정 본부장은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을 하더라도 접종률은 70~80% 정도를 보이기 때문에 단순 비교하기는 어렵다”고 덧붙였다.

정 본부장은 이어 “백신의 신뢰성을 확보하는 게 접종률을 높이고 유지해서 코로나19를 극복하는데 매우 중요한 일이라고 생각한다”며 “국민이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고 이상 반응 조사결과를 투명하게 설명해 안내를 철저히 하겠다”고 강조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속에 백신 예방 접종이 진행중인 10일 대전 유성구보건소에서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을 접종받은 대상자들이 이상반응을 체크하기 위해 잠시 대기하고 있다. 중앙포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속에 백신 예방 접종이 진행중인 10일 대전 유성구보건소에서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을 접종받은 대상자들이 이상반응을 체크하기 위해 잠시 대기하고 있다. 중앙포토

그러면서 “접종을 시작하는 요양병원과 요양시설은 지난 1년 동안 경험했던 것 중 위험도가 높았던 대상이다. 집단으로 입원치료나 집단생활을 하기 때문에 감염률도 높고 치명률도 높을 수 있어 접종을 받을 수 있도록 의료기관 등을 통해 잘 설명해 접종이 이뤄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며 “국민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 사회 저명인사를 접종하는 것도 바람직하다는 말씀도 있어 질병관리청도 좀 더 신뢰를 회복할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하겠다”고 말했다.

정부는 그간 65세 이상의 경우 AZ 백신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는 임상 자료가 부족하다며 접종을 보류했으나 이후 영국·스코틀랜드 등 일부 해외 국가에서 65세 이상에게 접종해도 백신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오자 접종을 하기로 결정했다. 접종에 쓸 백신은 22일부터 3일간 순차적으로 배송해 요양병원 65세 이상 대상자는 23일, 요양시설은 30일부터 접종을 시작한다.

이태윤 기자 lee.taeyu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