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격인상 후 금연 뉴요커 급증

중앙일보

입력

담배 가격 인상이 흡연 폐해를 줄이는 대책이 될 수 있다는 주장과 없다는 주장이 팽팽히 맞선다. 그런데 미국 뉴욕시의 사례를 보면 대답은 `예스'라고 할 수 있다.

뉴욕 타임스는 지난해 뉴욕의 흡연자 인구가 전년도에 비해 11%나 줄어들었으며 시 관리들과 금연운동가들은 담배가격 인상이 이와 같은 흡연인구 감소의 주된 원인으로 보고 있다고 12일 보도했다.

타임스가 인용한 뉴욕시 통계에 따르면 뉴욕시 흡연인구는 10여년간 거의 변동이 없었으나 지난해 10만명 이상이 감소하면서 흡연인구 비율도 21.6%에서 19.3%로 줄어들었다. 흡연인구는 모든 지역과 연령, 인종 등에 걸쳐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또 담배 소비량은 흡연인구 감소 폭보다 더 큰 13%가 줄어들어 담배를 끊지 않은 흡연자들도 흡연량을 줄이고 있음을 나타냈다. 다른 지역 통계와 마찬가지로 뉴욕시 조사에서 `흡연자'란 "평생 100개비 이상의 담배를 피웠고 현재 매일 또는 이따금 담배를 피운다"고 응답한 사람을 의미한다. 조사는 뉴욕시 보건국이 1만명의 시민들을 상대로 한 전화설문의 방식으로 이뤄졌다. 표본오차는 ±1%.

시 보건담당 관리들과 금연운동가들은 이처럼 획기적인 흡연인구 감소가 2002년 시행된 담배세 인상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당시 뉴욕시는 갑당 8센트였던 담배세를 1.50달러로 20배 가까이 인상했고 이는 담배가격 상승으로 이어졌다.

또 뉴욕주와 뉴욕시가 레스토랑과 바에서 흡연을 금지하고 금연광고, 무료 니코틴 패치 보급 등 대대적인 금연 캠페인을 벌이기 시작한 것도 흡연인구 감소와 시기적으로 일치한다.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대 보건학 교수인 스티븐 슈로더 교수는 "뉴욕시가 급격한 담배세 인상, 실내 금연 조치, 금연 캠페인 등 세가지 조치를 병행한 것이 흡연인구 감소를 불러왔다고 볼 수 있다"면서 "대부분의 주와 시 정부는 흡연인구 감소를 위해 많은 조치를 시행하지는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금연단체인 `담배없는 뉴욕 센터'의 러셀 시안드라 소장은 "이번 조사결과는 당국이 흡연문제에 적극 대처할 경우 어떤 결과를 불러올 수 있을지를 잘 보여준다"면서 "이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며 우리가 담배가격을 급격히 인상하면 일어날 것으로 늘 이야기해왔던 일"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담배업체 관계자들은 시큰둥한 반응을 보였다. R.J. 레이널즈 담배사(社)의 존 싱글턴 대변인은 "담뱃값이 비싸 끊어야겠다는 사람은 있겠지만 11% 감소라는 수치에 대해서는 매우 의심이 간다"고 말했다. 필립 모리스 USA의 브렌단 매코믹 대변인도 뉴욕시 통계를 확인도 부인도 할 수 없다고 밝혔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