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 전염병 숨기기 급급'

중앙일보

입력

부산시가 세균성 이질과 식중독 등 잇단 집단 전염병 발생에 늑장 대처는 물론 숨기기에 급급해 전염병 관리에 허점을 드러내고 있다.

부산시 보건당국은 지난달 26일 부산 북구 모 대학 학생 김모(19)군 등 4명이 고열을 동반한 설사와 복통 증세를 호소해 세균성 이질 발병이 의심됐으나 학교 재 학생과 교직원에 대한 가검물 역학조사와 학교시설에 대한 역학조사는 3일 뒤인 29 일에나 이뤄졌다.

부산시는 또 세균성 이질이 강한 전염력을 갖고 있어 의심환자 발생 사실을 재 빨리 알리고 예방에 나섰어야 했으나 29일 북구 보건소에서 이질균 발생을 1차 확인 하고도 발병사실 숨기기에 급급, 하마터면 이질 환자가 크게 늘어날 뻔 했다.

특히 부산시는 김군 등 4명이 지난달 30일 시 보건환경연구원에서 세균성 이질 양성자로 확인됐는데도 환자들을 자택에 격리 조치하는데 그쳤으며 사건발생 7일째 인 3일에도 세균성 이질 발생 사실을 숨기기에 급급했다.

이에 앞서 지난달 12일 사하구 모 중학교 학생 170여명이 설사, 복통, 고열, 구 토 등 집단 식중독 증상을 보였으나 사하구 보건소는 이같은 사실을 뒤늦게 부산시 보건당국에 보고했다.

이에 따라 식중독 의심환자 발생이후에도 이틀동안 학교급식이 계속됐으며 학교 비음용수 급수시설 폐쇄와 급식 중단조치도 14일에나 이뤄져 늑장대처로 인한 식중 독 확산을 방조했다는 지적을 받았다.

부산시 보건당국은 봄철만되면 식중독이나 이질 등 집단 전염병 발생시 이를 조 기에 발견, 신속한 조치에 나서는 집단발병 모니터제 홍보에 열을 올리고 있으나 잇 단 전염병 발생에 적절한 대처를 못하고 있다.

부산시 관계자는 "전염병 감염이 의심되는 환자에 대한 조치는 제때 이뤄졌으며 예방조치는 의심환자의 감염사실이 확인되는 대로 하려고 했다"고 말했다.

(부산=연합뉴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