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OS 생산유전자 없애면 위암 억제"

중앙일보

입력

헬리코박터 파이로리균에 감염될때 증가하는 단백질 생산 유전자를 없애면 위암 발생을 억제한다는 사실이 처음으로 입증됐다.

식품의약품안전청 국립독성연구원의 남기택(35)박사 연구팀은 실험용 쥐(마우스)를 이용, 이러한 사실을 밝혀냈다고 4일 밝혔다.

이 연구결과는 소화기질환 분야의 권위있는 의학 전문지 'GUT' 5월호에 게재될 예정이다.

남 박사는 이번 연구로 오는 27~31일 미국 올랜도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규모의 국제학회인 미국암학회에서 '우수 과학자상'(Scholar-in-Training Award)을 받는다.

연구팀은 이번 실험을 통해 헬리코박터 파이로리균이 위암 발생을 촉진시킨다는 점을 확인했다.

지난 94년 암연구국제기구(IARC)가 헬리코박터 파이로리균을 발암물질로 규정했는데, 그동안 이 균이 위암 발생을 촉진시킨다는 점을 실험용 쥐를 이용해 증명한 연구결과는 없었다고 남 박사는 설명했다.

우리나라 성인의 90% 가량이 헬리코박터 파이로리균에 감염된 것으로 알려져있으며, 일단 이 균에 감염되면 위염 등 다양한 위 관련 질환이 발생한다.

연구팀은 또 단백질의 일종인 'iNOS'를 생산하는 유전자를 없앤 쥐와 정상적인 쥐에게 헬리코박터 파이로리균으로 위암을 유발한 결과 iNOS 생산 유전자가 없는 쥐의 위암 발생률(31%)이 정상적인 쥐(72.7%)보다 훨씬 적었다고 밝혔다.

iNOS 단백질은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생성되지 않지만 헬리코박터 파이로리균에 감염되면 수십배로 증가한다.

남 박사는 "이번 연구로 iNOS 단백질 생성을 억제하는 물질을 개발, 위암을 예방하거나 치료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했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