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말 ‘5인 이상 모임금지령’ 코로나 확산 꺾었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2면

방역 당국이 지난해 12월부터 시행 중인 ‘5인 이상 집합금지’ 조치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확산을 일정 수준 차단하는 효과가 있었다는 분석이 나왔다. KT는 자사의 통신 빅데이터와 서울시의 구별 유동인구 변동, 뉴스·소셜미디어(SNS) 언급량, 코로나19 확진자 추이 등을 분석한 결과를 7일 내놨다.

KT, 빅데이터로 본 ‘K-방역’ #3월·8월 유행 때보다 민감도 줄어

KT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19일 서울의 인구 이동량은 이전과 비교해 증가세로 돌아섰다. 서울에서 5인 이상 집합금지를 시행하기 나흘 전이었다. 하지만 5인 이상 집합금지를 시행한 뒤 인구 이동량은 급격히 줄었다. KT 관계자는 “연말 유동인구가 늘어나는 시즌에 맞춰 방역 조치를 강화했더니 (코로나19) 확진자 증가세가 둔화하는 효과를 거뒀다”고 말했다.

인구 이동과 코로나19 확진자 추이. 그래픽=김은교 ki m.eungyo@joongang.co.kr

인구 이동과 코로나19 확진자 추이. 그래픽=김은교 ki m.eungyo@joongang.co.kr

서울 시민들은 정부가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를 상향하기 전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경향을 보였다. 정부가 방역 단계를 강화한 지난해 11월 24일 이전부터 서울의 인구 이동량이 줄었다. 시민들이 확진자 증가 추이를 살피면서 자발적으로 불필요한 이동을 자제한 영향으로 풀이할 수 있다.

서울의 25개 구별로 살펴보면 거주 인구는 적은 편이라도 도심이나 부도심에 위치해 직장인 등의 이동이 활발한 곳일수록 코로나19 확진자 비율(거주자 수 대비 확진자 수)이 높았다. 지난해 4분기 종로구의 코로나19 확진자 비율은 0.21%였다. 같은 기간 중구는 0.18%, 서초구는 0.15%로 나타났다.

코로나19 확산이 장기화하면서 시민 민감도는 낮아진 것으로 분석됐다. 지난해 1차(3월)와 2차(8월) 유행 때는 코로나19 확진자가 늘면 이동 인구가 즉각적으로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지난해 3차(11~12월) 유행 때는 이동 인구가 다소 완만하게 감소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온라인 공간에서 ‘코로나’를 언급하는 양은 점차 줄어드는 모습이었다. 지난해 3차 유행 때 SNS에서 ‘코로나’라는 키워드를 언급한 양은 1차와 2차 유행 때와 비교해 오히려 감소했다. KT는 “장기간 진행된 방역 조치에 따라 시민들의 피로도가 커졌다. 코로나19에 대한 학습효과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김형욱 KT 미래가치추진실장(부사장)은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코로나19 확진자 증감 추이와 방역 정책에 따른 유동인구의 변화를 확인했다”고 말했다.

김경진 기자 kjink@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