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인권단체, 中 '에이즈 스캔들' 전면조사 요구

중앙일보

입력

중국 정부는 중국인 수백만명에게 에이즈(후천성면역결핍증) 바이러스인 HIV를 감염시킨 수혈 스캔들에 대해 "전면적이고 공정한 조사"를 개시하라고 뉴욕에 소재한 유명한 인권단체인 '인권감시(HRW)'가 3일 촉구했다.

HRW는 현지 인터뷰들을 통해 중국내 에이즈 환자와 HIV 감염자들의 인권 실태를 상세히 폭로한 94쪽의 보고서에서 이같이 촉구하고, 중국이 이 스캔들을 조사할 수 없다면 유엔이 사실들을 입증하기 위해 개입해야 한다고 호소했다.

보고서는 4억2천만명의 인구를 가진 7개성에 걸친 조사에서 HIV 감염자들 중 혈액 제공자들 사이에 유병률이 4∼40%나 차지했다고 밝히고 "이는 HIV감염자들이 중국정부가 공식적으로 인정하는 100만명보다 훨씬 많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지난 1980년대 중반 중국 허난성(河南省) 한 지역의 여러 마을들이 중국 정부의 비위생적인 혈액 수거 때문에 에이즈 바이러스에 감염됐으나, 정부는 1990년대 중반까지 은폐하고 있다가 최근에야 잘못을 시인했으나 혈액 수거가 야기한 이 사건의 정확한 진상을 공개한 적이 없다.

HRW는 이 혈액 제공자 은폐 사건을 "세계 최대의 에이즈 스캔들중 하나"라고 비난하고 감염된 사람들 중 치료나 보상을 받은 사람은 거의 없고 1명의 관리도 지금까지 기소되지 않았다고 규탄했다.

HRW는 이에 따라 "이 혈액 스캔들에 대한 지방 당국의 연루 여부를 전면적이고 공정하게 조사해야 하고 관련자들의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중국 정부에 촉구했다.

보고서는 "중국이 단독으로 조사할 수 없다면, 유엔이나 다른 독립적인 기구에 사실들을 입증하기 위한 도움을 요청해야 한다"고 말했다.

'닫힌 문:중국내에서 HIV/AIDS와 살고 있는 사람들의 인권'이라는 제하의 이 보고서는 또, 중국 정부가 에이즈 환자와 바이러스 감염자들을 도와주는 대신 지하로 숨게 몰아가고 있다고 비난하고 이같은 미온적 대처가 병의 확산을 부추기고 있다고 말했다.

보고서는 또 에이즈 환자들에 대한 차별 행태가 광범위하게 자행되고 있으며 일부 지방에서는 이들의 식품관련 기업 취업이나 수영장 출입을 법으로 금지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보고서는 "차별은 많은 사람들을 국외자로 살아가게 하고 있으며, 중국 정부는 차별을 척결하지 않고 용납하고 있다"고 말하고 "이는 에이즈 위기를 더 악화시킬 것임이 틀림없다"고 지적했다.

이번에 발표된 보고서는 2년간에 걸쳐 베이징(北京), 홍콩, 윈난성(雲南省) 등지의 HIV와 에이즈 환자 및 경찰관, 에이즈 구제 활동가, 마약 사용자 등 30여명을 현지에서 실제로 인터뷰한 것에 기초하여 작성됐다. (베이징=연합뉴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