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타차단제, 카르베딜롤이 효과 월등

중앙일보

입력

만성 심부전 치료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두 가지 베타차단제 카르베딜롤(carvedilol)과 메트로프롤롤(metroprolol) 중 카르베딜롤이 환자의 생존기간을 연장시키는 데 더 큰 효과가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유럽심부전전문가위원회는 최근 프랑스 스트라스부르에서 열린 유럽심부전학술회의에서 발표한 연구보고서를 통해 유럽 15개국의 만성 심부전 환자 3천29명을 대상으로 5년에 걸쳐 실시한 임상시험 결과 카르베딜롤 복용자가 메트로프롤롤 복용자에 비해 거의 18개월을 더 산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이들을 반씩 나누어 1천511명에게는 카르베딜롤을, 1천518명에게는 메트로프롤롤을 각각 투여했다.

조사기간에 카르베딜롤 그룹은 34%(512명), 메트로프롤롤 그룹은 40%(600명)가 사망, 카르베딜롤 그룹이 평균 1.4년을 더 산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의 일원인 영국 런던 임피리얼대학 심장전문의 필립 풀-윌슨 박사는 임상시험에서 투여된 약의 단위와 작용형태를 둘러싸고 논란이 있을 수 있겠지만 중요한 것은 두 치료제 중 하나가 더 효과가 크다는 사실이 밝혀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팀은 카르베딜롤이 왜 더 효과가 있는지는 알 수 없다고 말했다. 일부 과학자들은 카르베딜롤이 작용하는 방법이 다소 다르기 때문일 것으로 믿고 있다.

베타차단제는 심근세포에 있는 특정 베타수용체들을 차단함으로써 심박동 속도를 증가시키는 화학신호의 효과를 억제하는 작용을 한다. 심근세포에는 두 가지의 주요 베타수용체인 베타-1과 베타-2가 있으며 메트로프롤롤은 베타-1을, 카르베딜롤은 베타-1과 베타-2 모두를 차단한다.

심부전이란 심장의 펌프기능이 약해 혈액을 제대로 펌프질해 내보내지 못하는 현상으로 이 때 심장은 약해진 펌프기능을 보상하기 위해 더 빨리 뛰게 되며 이것이 다시 심장에 압박을 가하게 된다.

이 임상시험은 카르베딜롤을 판매하고 있는 호프만-라 로슈 제약회사와 그락소-스미스클라인 제약회사의 연구비 지원으로 이루어졌다.

카르베딜롤은 미국에서는 코레그(Coreg), 기타 지역에서는 딜라트레노(Dilatreno)라는 상표명으로 판매되고 있다.(런던=연합뉴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