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증 같아도 사람마다 아픔강도 달라

중앙일보

입력

통증의 종류와 정도는 같더라도 사람마다 느끼는 아픔의 강도는 다를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웨이크 포리스트 대학 메디컬 센터의 로버트 코그힐 박사는 국립과학원 회보 최신호에 발표한 연구보고서에서 뇌 활동을 분석한 결과 통증에 대해 보통 사람들보다 강력한 반응을 보이는 사람들이 있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고 밝히고 따라서 의사들은 환자의 말을 믿고 그에 적합한 통증 치료을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코그힐 박사는 의사들은 통증에 유달리 예민한 사람과 통증을 잘 참는 듯이 보이는 환자들을 만나게 되지만 이러한 개인의 통증 민감도 차이가 사실인지를 확인할 수 있는 객관적 증거가 없었다고 지적했다.

코그힐 박사는 17명의 지원자를 두 차례에 걸쳐 오른쪽 다리 아래쪽에 히팅 패드를 붙여 통증을 유발시키고 각자 통증의 정도를 1에서 10 사이의 숫자로 표시하도록 한 다음 두 번 표시된 숫자의 평균치를 산출했다. 평균치는 사람마다 낮게는 1에서 높게는 9까지 크게 다르게 나타났다.

이와 함께 자기공명영상(MRI)을 통해 이들의 뇌 활동을 관찰하면서 그 결과를 통증강도 수치와 비교해 보았다.

결과는 남들보다 통증 민감도가 높은 사람들이 통증 감각을 관장하는 특정 뇌 부위의 활동도 더욱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특히 통증 포착과 강도를 관장하는 체성감각피질(體性感覺皮質)과 통증으로 인한 불쾌한 느낌을 관장하는 전대상피질(前帶狀皮質)의 활동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코그힐 박사는 그러나 막상 통증 신호를 척수로부터 뇌의 관련 부위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뇌 영역인 시상(視床)의 활동은 실험대상자들 사이에 전혀 차이가 없었다고 밝히고 이는 통증신호가 척수로부터 뇌에 전달되는 형태는 모든 사람에게 동일하지만 일단 뇌에 들어온 통증신호는 뇌에서 사람마다 달리 처리된다는 사실을 시사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남녀간에는 통증 반응에 차이가 없었다고 코그힐 박사는 덧붙였다. (워싱턴=연합뉴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