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 물리치료 실태조사 착수

중앙일보

입력

보건복지부는 일선 의료기관의 과도한 물리치료가 건강보험 재정악화의 요인이 되는 것으로 보고 병.의원을 대상으로 실태조사에 착수했다.

조사가 끝나면 의료단체 등의 의견을 수렴한 뒤 물리치료와 관련한 대대적인 제도개선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복지부 관계자는 16일 "물리치료는 감기와 함께 건강보험 재정악화를 초래하는 대표적인 항목"이라면서 "과잉.부정청구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이달 말까지 실태조사를 벌일 계획"이라고 말했다.

복지부는 이번 조사에서 최소 30곳 이상의 병.의원을 선정해 물리치료의 종류와 의료기관별 진료건수, 물리치료를 동반하는 질환과 주 진료대상 등을 파악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또 물리치료가 다른 병원에 비해 크게 많은 병원과 그렇지 않은 병원간에 시행건수가 얼마나 차이가 나는지 등도 비교분석하기로 했다.

지난해 물리치료와 직.간접으로 연관돼 발생한 진료비는 1조400억원으로 전체 병.의원(한방.치과 제외) 진료비 12조3천억원의 8.5%를 차지했다.

복지부 관계자는 "물리치료에 대한 본인부담금이 얼마 안되다보니 환자들이 질환과 별 관련이 없는데도 물리치료를 받으러 다니는 경향이 있다"면서 "병.의원에서는 이에 덧붙여 진료비와 각종 처치비 등을 보험공단에 청구하고 있어 심각한 재정악화를 초래하고 있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주종국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