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기세포로 면역체계 재생 가능

중앙일보

입력

줄기세포를 대표적인 면역세포인 T세포를 만드는 흉선(胸腺)으로 전환시키는 실험이 성공을 거둠으로써 에이즈나 암 환자의 면역체계를 회복시키는 것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호주 멜버른에 있는 모나시대학 의과대학의 제이슨 질 박사는 의학전문지 '네이처 면역학' 최신호 인터넷판에 실린 연구보고서에서 상피 줄기세포를 쥐에 주입하면 조혈 줄기세포를 끌어들여 이들을 감염과 싸우는 T세포로 전환시키며 상피 줄기세포와 T세포가 다시 T세포를 생산하는 흉선을 재생시킨다는 사실이 밝혀졌다고 말했다.

질 박사는 상피 줄기세포를 쥐의 피하에 주입하는 것으로 손톱만한 크기의 흉선이 만들어졌다고 밝히고 일단 흉선이 만들어지면 이식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쥐의 면역체계는 사람의 면역체계와 놀라우리만큼 유사하기 때문에 이 기술이 사람에게도 응용될 수 있을 것이며 3-5년안에 이것이 가능하게 될 것라고 질 박사는 말했다.

흉선은 목에 있는 림프조직과 유사한 작은 기관으로 감염과 싸우는 T세포를 포함, 면역체계에 없어서는 안되는 면역세포들을 만들어 낸다.

그러나 흉선의 T세포 생산능력은 나이가 들면서 또는 바이러스 감염, 항암 화학요법, 유전자 이상 등에 의해 크게 줄어든다.

에이즈 환자는 에이즈 바이러스가 T세포를 대량으로 죽이기 때문에 면역체계가 파괴돼 감염에 무방비 상태가 되며 항암 화학요법과 방사선 치료 역시 T세포를 대량 파괴한다.

따라서 에이즈 바이러스에 감염되거나 항암치료를 받는 사람은 흉선을 대체해 주어야 한다고 질 박사는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한성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